
안응칠, 이토히로부미를 쏘다! 안중근 푸른나무
1909년 10월26일 오전 9시, 하얼빈역에서 일곱 발의 총성이 울렸다. 안응칠, 곧 대한독립군 참모중장이던 안중근이 조선을 침략하고, 동양 평화를 위협하는 이토 히로부미를 향해 쏜 총소리였다.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 것은 대한국의 군인으로 적을 죽인 일이니 일본 재판을 받을 까닭이 없고, 만국공법에 따라 포로 대우를 해 달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일제는 영국, 러시아, 조선인 변호사의 변론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고 관선 변호사를 정해 억지 재판을 했다. 안중근은 사형 선고를 받고도 일본 재판을 인정할 수 없다며 항소를 거부했고, 1910년 3월26일 장렬하게 순국했다.
이 책은 감옥에서 죽음을 앞두고 자신이 살아온 일을 돌아보면서 쓴 것이다. 감옥에서 쓴 글이어서 항일운동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일이나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사건도 속내를 솔직하게 다 드러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때까지 이미 알려진 일이나 드러난 사람들과 관계된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안중근이 살아온 길, 나라를 위해서 한 일, 왜 자기가 죽을 것을 뻔히 알면서도 이토 히로부미를 쏘았는지를 자세히 알 수 있다. 한문으로 쓴 글을 한글로 옮겼으며, 어린이들이 읽기에 마땅하지 않는 부분은 일부 빼고, 인심결합론이나 동양평화론은 부록으로 붙였다. 이 자서전에 이어 쓰기 시작한 동양평화론은 사형이 집행되는 바람에 시작 부분만 쓰여 있다. 하지만 그가 생각하는 동양 평화를 위한 올바른 길이 무엇인가를 짐작하게 한다.
당시 일제와 그 앞에 서 있던 이토 히로부미는 일본이 조선과 동양 평화를 위한다고 외쳤다. 그러나 안중근은 정작 일본이야말로 동양 평화를 깨고 있으며, 이토 히로부미는 그 앞잡이로 늙은 도둑이라고 했다. 그 앞뒤 역사를 보면 이토 히로부미의 말은 거짓이고 안중근의 말이 참이다. 그런데 그때나 지금이나 침략이 아니라 도움을 준 것이라고 떠드는 거짓말쟁이들이 있고, 그 거짓말에 속는 사람도 있으니 안타깝다. 초등학생들이 읽기는 조금 어렵지만 역사의 진실을 아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주영/서울 송파초등학교 교사 jyl0301@hanafos.com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