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게 다지는 영어일기
29st January Sat ’03 Very cold
I went to Busan-culture center with my family. In there, I enjoyed traditional concert of korea and heard fork music. I think they're boring until I visit there, because I haven’t been interested in traditional things. But this concert was perfectly different from my prejudice and change my mind. Sometimes traditional string music wasn’t only moving, beautiful but Samul concert also was dynamic. Anyway I will be willing to love traditional music of korea.(최성미/부산 부산진구 초연중 1학년)
■전반적인 평가
하나의 주제 아래 필자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잘 표현해 주었다. 어떤 점이 전통음악에 대한 필자의 생각을 바꿔놓았는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더해졌다면 아주 훌륭한 글이 되었으리라 본다. 그리고 동사의 시제에 좀 더 유의하면서 글을 써 보자.
■문장 들여다보기
29st January Sat ’03 Very cold
요일과 날짜를 쓰는 방법인데 순서가 조금 바뀌었다. 옳은 순서는 ‘Sat. January 29th, 2003’이 된다.
I went to Busan-culture center with my family. 잘 쓴 문장이다. 단 여기서 ‘Busan culture center’가 특정 이름인 경우 첫 글자는 모두 대문자로 써서, ‘Busan Culture Center’가 되어야 한다. In there, I enjoyed traditional concert of korea and heard fork music. 한국 전통 음악을 들었다는 뜻의 문장인데 사용한 어휘들이 중복되어 있다. 이 문장은 ‘in there’을 빼고 ‘I enjoyed traditional Korean folk music.’으로 써 주면 된다. 그리고 우리 서민들의 민요를 가리키는 말은 ‘fork’가 아니라 ‘folk’라는 것도 기억해 두자. I think they’re boring until I visit there, because I haven’t been interested in traditional things. 일단 이 문장은 자신이 가지고 있던 생각을 표현하는 문장과 그 이유를 설명하는 문장으로 나누어 주는 것이 의미 전달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 기존 필자의 생각을 표현한 문장에서 동사 ‘think’와 ‘visit’의 시제를 단순 과거형으로 바꾸어 ‘I thought it was boring until I visited there.’로 고쳐 주고 그 이유에 해당하는 두 번째 문장은 because 대신 ‘이전’이라는 뜻을 가진 부사 previously를 사용해, ‘Previously I wasn’t interested in traditional things.’ 라고 쓰면 된다. But this concert was perfectly different from my prejudice and change my mind. 이번 음악회를 통해 자신의 생각이 바뀌었다는 내용인데 사용한 부사 ‘perfectly’는 완전 100%라는 뜻을 내포하므로 이 경우 ‘much’를 쓰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다. 그리고 prejudice라는 어휘도 좋으나 좀 더 자연스러운 영어 표현을 원한다면 “This concert was much different from how I thought it would be and I changed my mind.”라고 쓰면 된다. Sometimes traditional string music wasn’t only moving, beautiful but Samul concert also was dynamic. 이 문장 또한 두 문장으로 나누어 주자. 먼저 “Sometimes the traditional string music wasn’t only moving, but beautiful.”라고 쓴 뒤 다음 문장에서 사물놀이에 대한 이야기를 쓰면 된다. 이때 사용한 dynamic이란 형용사보다는 exciting 또는 energetic 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영어다운 표현이 된다. 따라서 두 번째 문장은 “The Samul concert also exciting.”이 된다. Anyway I will be willing to love traditional music of korea. 자신의 간략한 각오가 담긴 한 마디인데 이 문장에서 ‘willing to love’라는 표현은 좀 어색하다. 대신에 ‘willing to listen’으로 바꾸어 “Now I will be willing to listen to traditional music of Korea.”라고 하자. (다음주로 이어집니다.) 서희정/D.E.A.R. 어린이영어능력개발연구소장
I went to Busan-culture center with my family. 잘 쓴 문장이다. 단 여기서 ‘Busan culture center’가 특정 이름인 경우 첫 글자는 모두 대문자로 써서, ‘Busan Culture Center’가 되어야 한다. In there, I enjoyed traditional concert of korea and heard fork music. 한국 전통 음악을 들었다는 뜻의 문장인데 사용한 어휘들이 중복되어 있다. 이 문장은 ‘in there’을 빼고 ‘I enjoyed traditional Korean folk music.’으로 써 주면 된다. 그리고 우리 서민들의 민요를 가리키는 말은 ‘fork’가 아니라 ‘folk’라는 것도 기억해 두자. I think they’re boring until I visit there, because I haven’t been interested in traditional things. 일단 이 문장은 자신이 가지고 있던 생각을 표현하는 문장과 그 이유를 설명하는 문장으로 나누어 주는 것이 의미 전달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 기존 필자의 생각을 표현한 문장에서 동사 ‘think’와 ‘visit’의 시제를 단순 과거형으로 바꾸어 ‘I thought it was boring until I visited there.’로 고쳐 주고 그 이유에 해당하는 두 번째 문장은 because 대신 ‘이전’이라는 뜻을 가진 부사 previously를 사용해, ‘Previously I wasn’t interested in traditional things.’ 라고 쓰면 된다. But this concert was perfectly different from my prejudice and change my mind. 이번 음악회를 통해 자신의 생각이 바뀌었다는 내용인데 사용한 부사 ‘perfectly’는 완전 100%라는 뜻을 내포하므로 이 경우 ‘much’를 쓰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다. 그리고 prejudice라는 어휘도 좋으나 좀 더 자연스러운 영어 표현을 원한다면 “This concert was much different from how I thought it would be and I changed my mind.”라고 쓰면 된다. Sometimes traditional string music wasn’t only moving, beautiful but Samul concert also was dynamic. 이 문장 또한 두 문장으로 나누어 주자. 먼저 “Sometimes the traditional string music wasn’t only moving, but beautiful.”라고 쓴 뒤 다음 문장에서 사물놀이에 대한 이야기를 쓰면 된다. 이때 사용한 dynamic이란 형용사보다는 exciting 또는 energetic 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영어다운 표현이 된다. 따라서 두 번째 문장은 “The Samul concert also exciting.”이 된다. Anyway I will be willing to love traditional music of korea. 자신의 간략한 각오가 담긴 한 마디인데 이 문장에서 ‘willing to love’라는 표현은 좀 어색하다. 대신에 ‘willing to listen’으로 바꾸어 “Now I will be willing to listen to traditional music of Korea.”라고 하자. (다음주로 이어집니다.) 서희정/D.E.A.R. 어린이영어능력개발연구소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