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의 등장과 함께 ‘영어 광풍’이 불면서 전국의 영어마을이 새삼 관심을 끌고 있다. 경기도에서 처음 시작한 영어마을은 이후 지방선거의 ‘단골 공약’으로 등장했다. <한겨레>가 9일 확인한 결과, 현재 자치단체 14곳에서 3천여억원을 들여 영어마을 건립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운영 중인 영어마을들이 적자의 늪에서 허우적대자 슬그머니 계획을 접는 지자체도 잇따르고 있다. 적자에 허덕이는 지자체들은 민간 위탁으로 방향을 틀었는데 적자 보전을 이유로 수익 프로그램의 비중을 높여 ‘사설 학원화’한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입소자들은 줄어들고, 애초의 목적인 국외 연수를 줄이기보다는 되레 부추긴다는 조사결과도 나오고 있다. 홍용덕 박주희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