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시스템 +스타’ 꿈 대량생산
원문읽기
최초의 영화 발명은 프랑스 뤼미에르 형제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사실 같은 시기 미국의 에디슨은 이미 비디오 매체적인 영화 장사를 꿈꾸며 ①키네토스코프를 발명했다. 영화에 대한 모든 것을 독점하고자 한 에디슨의 지나친, 그리고 너무 앞선 비전이 그를 초라한 영화 장사꾼으로 영화사에 기록되게 했지만, 에디슨의 이런 ②발상은 이미 헐리우드 정신을 ③대변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적이다.
영화가 탄생하자마자 곧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 개념으로 산업화시킨 선두 주자는 프랑스와 미국이다. 그러나 규모와 생산성이라는 하드웨어적 측면은 물론, 당시 유럽에서 미국으로 엄청나게 밀려든 이민자들의 다양한 문화와 언어의 차이를 극복하고 평균화 작업을 이룬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도 미국 영화는 이미 세계성의 싹을 품게 된다. 영화 산업 초기부터 프랑스는 거대한 고몽 사와 샤를르 파테 사의 독주와 이에 반항하는 영화 예술가들의 투쟁으로 영화의 상업성과 예술성 사이에서 신경전을 벌이고 있을 때, 미국은 일찌감치 돈과 사회적 모랄을 결혼시킨 영화 산업이라는 명확한 결론으로 경쟁 체제의 8대 메이저 스튜디오 시스템을 잡아나간다.
얼마 전 자존심 강한 유럽 영화인이 “헐리우드가 어디 미국 것이냐, 헐리우드 영화는 유럽인이 만든 것이다.”라는 ④취지의 발언을 했는데 사실 ⑤일리가 있는 말이다. 8대 메이저를 설립한 이들 중 20세기 폭스사의 윌리암 폭스는 헝가리에서 이민와 극장을 운영하다 제작자가 되었고, 워너 브라더스의 창립자 워너 형제는 폴란드에서 이민와 영사기를 들고 전국 순회 상영을 하던 영화 조수에서 배급업자를 거쳐 제작자로 변신하였다. 이후 1·2차 세계 대전을 겪으며 아수라장이 된 유럽에서 경제적 형편이나 이데올로기 문제로 영화 작업이 불가능해진 재능 있는 유럽의 영화인들이 잇달아 미국으로 이주하거나 망명하면서 헐리우드는 영화 인재의 보고가 되는 행운을 얻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영화 인재의 결집이라는 점과 영화 산업 시스템의 본질이 애초부터 배급업과 제작업을 직접 연결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다양한 영화를 저렴한 가격으로 배급하는 니켈-오데온 극장 시스템의 극장 체인화가 20년대부터 이루어진 것은 영화의 대량 소비 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것은 영화 배급 수익이 통째로 영화 제작에 재투자되어 산업을 확대 재생산시키는 원형 구조를 확보해 낸다. 아직도 극장 체인화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데다, 헐리우드 직배 영화를 제외하고는 정확한 극장 통계와 수익 수치가 안 나오는 한국의 현실을 돌아보면 헐리우드 기준의 영화 산업화에서 유통 시스템에 ㉠관한 한 우리는 적어도 80년을 뒤지고 있는 셈이다.
인종들의 복합체인 미국의 영화에서 오랜 역사나 전통이란 가치는 애초부터 별로 존중할 만한 덕목이 아니었다. 낡은 대륙 유럽에서 전통과 역사를 자랑하는 다른 예술들과 비교하며 영화의 예술성 실험에 골몰하고 있을 때, 헐리우드는 미국적 삶을 반영하는 가장 매혹적인 매체로 영화를 만드는 데 집중해서 ‘영화는 우선 엔터테인먼트’라는 확실한 개념을 잡아나간다. 그리하여 쉽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영화를 효과적으로 반복해서 대량 생산하는 장르 시스템이 일찍 자리잡게 된다. 이런 식의 유형화된 영화 제작은 통조림같이 똑같은 영화를 복제하는 ‘영화 공장’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쉽고 편한 영화를 원하는 관객에겐 가장 잘 먹혀드는 제작 형태인 것으로 판명났다. 장르 시스템에 덧붙여 고정된 이미지를 가진 카리스마적인 매력의 스타들을 스튜디오마다 전략적으로 양성하는 스타 시스템이 구축되어, 대중이 동일시하며 집착하는 스타들이 연이어 탄생함으로써 헐리우드는 통조림 공장이 아닌 ‘꿈의 공장’이라는 칭호를 얻게 된다.
유지나 <문화 산업의 첨병, 헐리우드>
되짚기 마당
◇ 어휘 풀이
① 키네토스코프(kinetoscope): 1889년에 에디슨이 발명한 일인 일회용 영화 감상 기구.
② 발상(發想, expression): 1. [하다형 타동사] 새로운 생각을 내놓음, 또는 그 새로운 생각. 2. 사상이나 감정 따위를 표현하는 일. 3. 악곡이 지닌 정서 따위를, 연주할 때의 빠르기나 강약 등으로 표현하는 일.
③ 대변(代辯, speaking by proxy): 어떤 기관이나 개인을 대신하여, 그 의견이나 태도 따위를 책임지고 말함.
④ 취지(趣旨, effect): 1. (어떤 일의) 근본 목적이나 의도. 2. (이야기나 문장의) 근본 뜻. 취의(趣意). 지취.
⑤ 일리(一理, some reason): 1. 한 가지의 이치. 2. 같은 이치.
◇ 짬짬 강의
● 띄어쓰기 ㉠관한 한(O)-관한한(X)
여기서의 ‘한’는 주로 관형사형 어미 ‘-ㄴ’ ‘-는’ ‘-은’ 뒤에 쓰이며 앞말이 나타내는 동작이나 상태가 죽 이어짐을 조건으로 하는 뜻 또는 앞말이 뜻하는 것과 같은 막다른 상황임을 나타내는 명사이다. 즉, ‘관한 한’은 ‘관형사+명사’이므로 이 둘은 띄어써야 한다. 이만기/언어영역 강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