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육청 뒤늦게 적발
서울시교육청이 교육과학기술부의 ‘4·15 학교 자율화’ 조처의 후속 대책을 통해 ‘0교시 수업’은 계속 금지하기로 했지만, 서울지역 고교 12곳이 버젓이 0교시를 실시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4월 말 서울시내 고교를 대상으로 조사를 해 보니, 12개 학교에서 정규수업 이전에 보충수업을 하는 이른바 ‘0교시 수업’을 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이런 조사결과는 그동안 “0교시를 하는 학교가 없다”고 밝혀 온 시교육청의 기존 주장을 뒤집는 것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지난 4월19일 ‘많은 학교에서 0교시가 이뤄지고 있다’는 <한겨레> 보도를 보고 실태파악에 나섰다”며 “12개 학교가 0교시를 하는 것으로 조사돼 장학지도를 했다”고 밝혔다. 시교육청은 적발된 12개 학교 가운데 9곳에 대해 곧바로 0교시를 중단하도록 지시했고, 3곳에 대해서는 이번달 말까지 업체와 계약을 맺은 점을 감안해 계약기간이 끝나는 즉시 중단하도록 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일부 학교들이 3개월 단위로 강사와 계약을 맺고 수강료까지 걷은 상태였다”며 “학생과 학부모의 혼란을 감안해 이번달 말까지만 한시적으로 허용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0교시뿐 아니라 언론이 지적한 ‘강제 조기등교’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단속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시교육청은 방과후 학교를 영리업체에 위탁할 계획이 있는 학교가 중·고교에서는 7%에 그친 반면, 초등학교는 22%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