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사회에서 한차례 유보됐던 로버트 러플린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총장의 카이스트 육성 방안이 27일 공개됐다.
러플린 총장은 이날 ‘카이스트 비전’을 발표하면서 “미국의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나 스탠퍼드대학교와 견줄 수 있는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 대학으로 발전시키겠다”며 “이를 위해 교원 15%의 외국인 교수 충원, 보상이 따르는 영년직 도입, 2개 국어 공용화 캠퍼스 구현, 학부생의 연구 참여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러플린 총장은 학생들이 이공계 뿐만 아니라 의학·법학 및 사업 등 다른 학문과 직업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예술·문화·경영경제·의학·법학 분야에 대한 학부 커리큘럼을 확대해 학부모들이 원하는 교육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또 최고 수준의 교수진 확보를 위해 최고 수준의 교수에게 세계적 수준의 보상을 하고, 현재 7.5% 수준인 외국인 교수진을 15%까지 늘리며, 경쟁력 있는 신임교원에게는 10억원 이상의 정착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카이스트 비전은 이밖에 탐험 연구를 위한 ‘종자기금’과 공동연구 시설 지원의 확대, 학부 기숙사·실험실·체육시설 개선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러플린 총장은 이런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해마다 200억원 이상이 들 것으로 추정하고 “정부와 민간 등을 포함한 다각적인 예산 확보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러플린 총장은 지난달 중순 정기이사회에 ‘카이스트 비전’을 제출했으나 이사회가 검토가 필요하다며 승인을 유보해 발표가 미뤄져 왔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