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랑의 진로 Q&A /
진로·진학
이랑의 진로 Q&A /
Q 경제학 전공 뒤 진로는
요즘 경제 관련 기사를 자주 접하면서 경제학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경제학을 전공해서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알고 싶어요.
A 인문사회 지식과 수학 중요 공공기관·금융계 등 길 다양
경제학은 우리가 살면서 매순간 직면하는 선택의 문제를 다루는 학문입니다. 좁게는 우리가 먹고사는 가장 기본적인 문제부터 넓게는 소득 불균형 문제, 실업 문제, 환경 문제 등을 다룹니다. 인간의 욕망은 무한한 데 비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자원은 한정돼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자원배분을 위해서는 합리적인 선택의 과정이 필요하며, 경제학은 이러한 합리적 선택을 위한 이론과 정책 등을 연구합니다. 경제학과는 전국 대학에 ‘경제학과’, ‘국제경제학과’, ‘농업경제학과’, ‘산업경제학과’, ‘금융경제학과’, ‘보험금융학과’ 등의 이름으로 개설되어 있는데요. 주로 4년제 대학의 사회과학대학에 개설되어 있지만, 실제로 공부를 해보면 수식이나 그래프를 활용하여 경제현상을 수학적으로 설명하는 경우가 많아 인문사회학적 지식과 함께 수학을 잘하는 학생들에게 유리한 학문입니다. 고등학교에서 문과계열이었던 학생들이 경제학을 공부하면서 수학이 어려워 전공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까, 이 점은 꼭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경제학을 전공하고 진출할 수 있는 분야는 참 다양합니다.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재경직, 국제통상직, 외교통상직 공무원으로 일할 수도 있고, 한국은행, 한국조폐공사, 한국투자공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조세연구원 등 공공기관으로 진출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일반기업으로는 은행, 증권회사, 선물회사, 자산운용사, 투자자문사, 종합금융사, 보험회사, 회계법인, 세무법인이나,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IBRD), 세계무역기구(WT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같은 국제기구로도 진출이 가능합니다. 경제학은 경영, 금융, 회계, 유통, 보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초가 되는 학문이므로, 본인의 관심 분야를 찾아 도전하면 취업의 문은 넓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랑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