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글짓기·그림그리기 없애고 안보체험 강화
전문가들 “안보 강조는 냉전시대 유물” 비판
전문가들 “안보 강조는 냉전시대 유물” 비판
서울시교육청이 일선 학교에서 이뤄지는 통일교육의 방향을 ‘민족공동체 강화와 남북 상호이해’에서 ‘안보관과 국가관 확립’으로 바꾸기로 했다. 전문가들은 시교육청이 현 정부의 대북·통일 정책에 맞춰 냉전시대의 반공·안보교육으로 회귀하려 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14일 “금강산·개성 방문 등을 통해 남북 상호이해 강화에 중점을 뒀던 통일교육을 올해부터는 안보교육도 강화하는 ‘통일·안보·역사교육’으로 바꿔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교육청은 이런 방침에 따라 금강산·개성 등을 방문해 통일을 주제로 글짓기와 포스터 그리기 등 행사를 벌였던 ‘통일체험교육’을 통일전망대, 2002년 북한과의 서해교전 때 지휘부였던 평택 2함대 사령부, 강화도 전적지 등을 견학하는 ‘안보체험교육’으로 바꾸기로 했다.
또 교육과학기술부나 통일부에서 배포하는 자료 외에 시교육청이 자체적으로 통일안보자료를 학교에 보급해 교사들이 통일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시교육청은 자료 보급 비용으로 5천여만원의 예산을 확보했으며, 이 자료는 자체 제작을 하거나 통일 관련 기관에서 만든 인정도서를 활용하는 방법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통일교육도 (남북관계 경색 등) 시대적 변화에 맞춰 바꿔야 할 필요성이 있다”며 “통일교육을 안 하는 것이 아니라 안보교육도 같이 강화해 균형을 맞추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독도 문제나 동북공정 문제 역시 국토 안보의 개념으로 보고 역사교육도 함께 강화하기로 했다”며 “독도문제와 관련된 교수학습자료 개발과 역사교사 연수, 학생·교사들의 독도 방문 행사도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교육청의 이런 방침은 최근 교과부가 통일교육 영역에서 ‘평화교육’ 항목을 빼고 북한에 대해 우호적인 기술을 자제하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중학교 도덕 교과서 집필기준을 바꾼 데 이어 나온 것이다. 이에 대해 남북의 상호이해를 도와야 할 통일교육을 오히려 과거 냉전시대의 반공·안보교육으로 되돌리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북한학)는 “통일교육에서 ‘안보’에 방점이 찍혔던 것은 과거 냉전시대이며, 탈냉전 시대 이후로 ‘평화·상호이해’로 무게중심이 확실히 이동했다”며 “이를 되돌리는 것은 정권의 지향점에 맞게 교육방향을 바꾸겠다는 것으로, 균형잡힌 시각이 아니라 ‘역편향’이 빚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