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측 "횡령 등 사실과 다르다"
서울경찰청 수사과는 18일 학생들의 등록금 수십억원을 횡령ㆍ유용한 혐의(특경가법상 업무상 횡령 및 배임 등)로 서울디지털대학교 설립자 황인태(45) 부총장을 구속했다.
경찰에 따르면 황 부총장은 재작년부터 최근까지 자금세탁 브로커 이모(35ㆍ구속)씨와 짜고 허위거래 서류를 꾸며 38억3천여만원을 횡령ㆍ유용하고 법인세 등 세금 4억8천여만원을 포탈한 혐의를 받고 있다.
조사결과 황씨는 서울디지털대 운영 용역업체 M사 대표를 겸임하면서 이 업체가학교측으로부터 허위로 운영비용을 받아내도록 하는 수법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뒤브로커와 관련 업체 등에 사례비로 7억8천여만원을 주고 나머지 30억4천여만원을 착복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중 서울디지털대로부터 직접 받아 조성한 비자금은 2억9천여만원이며 나머지는 학교측에 입시홍보비 등 명목으로 돈을 청구했던 M사로부터 챙긴 것이라고 경찰은 설명했다.
황씨는 사례비 1억9천여만원을 받고 가짜 세금계산서를 발급해 줬던 공범 이씨가 특가법상 조세포탈 혐의로 구속되자 잠적했다가 1주일 뒤 변호인을 데리고 경찰에 출석, 구속영장 실질심사를 받았으나 영장이 발부돼 구속됐다.
한나라당내에서 IT(정보기술)분야 전문가로 박근혜 대표의 디지털 특보를 맡고있는 황씨는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한나라당 서울 서초갑 공천을 희망했으나 뜻대로되지 않자 비례대표 24번으로 공천받았으며 현재 한나라당 전국구 승계 2순위자이다.
경찰 관계자는 "서울디지털대는 2000년 설립 후 매년 입학생이 증가해 졸업생 735명과 재학생 8천445명이 그동안 낸 등록금과 수강료가 525억원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서울디지털대 고문변호사인 정주식씨는 "경찰이 포착했다는 횡령 혐의금액 중 학교와 직접 관련된 부분은 2억2천여만원에 불과하며, M사가 학교에 청구한금액 중 20억원은 아직 지급되지 않았고 4억원 가량은 청구조차 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그는 "학교는 설립 초기 자금부족 때문에 M사의 자금지원을 받아 왔으며 지금까지 회사측에 70억원의 부채를 지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교비를 횡령한다는 것은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 학교 평교수협의회는 "비통하고 죄스러운 심정이지만 해당 행위를 저지른 자연인의 죄는 교육기관 자체와 분리해 생각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는 서울디지털대 총장으로 학교를 대표해 온 노재봉 전 국무총리에게접촉을 시도했으나 연락이 되지 않았다. (서울=연합뉴스)
그러나 서울디지털대 고문변호사인 정주식씨는 "경찰이 포착했다는 횡령 혐의금액 중 학교와 직접 관련된 부분은 2억2천여만원에 불과하며, M사가 학교에 청구한금액 중 20억원은 아직 지급되지 않았고 4억원 가량은 청구조차 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그는 "학교는 설립 초기 자금부족 때문에 M사의 자금지원을 받아 왔으며 지금까지 회사측에 70억원의 부채를 지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교비를 횡령한다는 것은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 학교 평교수협의회는 "비통하고 죄스러운 심정이지만 해당 행위를 저지른 자연인의 죄는 교육기관 자체와 분리해 생각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는 서울디지털대 총장으로 학교를 대표해 온 노재봉 전 국무총리에게접촉을 시도했으나 연락이 되지 않았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