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 새학기부터
학생들이 과목별로 정해진 교실을 돌아다니며 수업을 듣는 ‘교과교실제’가 내년 3월 새학기부터 시범 도입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일 교과교실제 도입을 희망하는 학교의 신청을 받아 모두 600여곳을 선정해 3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지원하는 내용의 ‘교과교실제 추진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교과교실제란 과목별로 전용 교실을 정해 두고, 학생들이 수업 시간표에 따라 각 과목 교사들이 상주하는 교실로 옮겨 다니며 수업을 하는 것으로, 미국·유럽·일본 등 많은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제도다.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부터 일부 시·도교육청이 이 제도를 도입해 서울 한가람고·공항중 등 33개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다. 교과부는 시행 초기에는 ‘전면 도입형’과 ‘부분 도입형’으로 나눠 대상 학교를 선정하기로 했다. 전면 도입형은 교과교실제를 대부분의 과목에 적용하는 학교로 중학교와 일반계고 가운데 45곳 내외를 선정하며, 학교당 15억원씩을 지원한다. 부분 도입형은 수학·영어·과학 등 일부 과목에만 교과교실제를 적용하는 과목 중점형과 기존의 수준별 이동수업을 확대하는 수준별 수업형으로 나뉜다. 과목 중점형은 240~260곳, 수준별 수업형은 350~370곳을 선정해 학교당 각각 5억원과 3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교과부는 교과교실제를 희망하는 학교들의 신청을 받아 시·도교육청을 통해 심사한 뒤 7월 초까지 시범 학교를 최종 선정할 방침이다. 선정된 학교에는 학교당 평균 4명의 시간강사와 3명의 행정보조인력이 지원되며, 교장·교원을 대상으로 한 연수도 실시된다. 김차동 교과부 인재정책실장은 “각 과목에 맞는 수업 기자재들이 설치되고, 교사들도 상주하면서 교수·학습법을 연구할 수 있어 수업의 질이 훨씬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