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고 교장들 반응
외국어고 규모를 줄이고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는 내용의 외고 개편안이 발표된 10일, 외고들은 정부 정책이 ‘외고 존속’으로 가닥잡힌 것에 내심 안도하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정원 축소에 대해서는 격한 반응을 보였다.
서울지역 외고교장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는 맹강열 명덕외고 교장은 “사교육을 유발하지 않는 방향으로 입시를 개편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대해서는 얼마 전 외고 교장들이 내놓은 입시 개선안이 수용된 것으로 평가한다”며 “하지만 학급당 정원을 줄이는 문제는 사립외고로서는 재정문제가 결부돼 있기 때문에 수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맹 교장은 “정부가 부족한 재정을 보조해 주겠다고 하지만, 얼마나 도움이 될지 의문인데다 사립학교의 자율권이 지금보다 더 침해될 소지가 있다”고 우려했다.
최원호 대원외고 교장도 “정부가 외국어에 대한 수월성 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해 준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면서도 “외국어를 공부하겠다는 학생과 학부모는 매년 증가하는데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오히려 줄이는 것은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정원이 줄어들면서 일반계고의 3배에 이르는 외고 등록금이 더 오를 가능성에 대해 최 교장은 “정부의 재정 보조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뤄질지 보고 판단해야 겠지만 등록금 인상도 여러 고려 대상 가운데 하나”라고 답했다.
전국 30개 외고 교장들은 지난 10월 사교육비 해결 방안의 하나로 외고 존폐 문제가 거론되자 “외고를 사교육비 문제의 주범으로 몰아붙이는 것은 마녀사냥”이라며 강하게 반발한 바 있다.
정민영 기자 minyou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