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교육

조상, 순혈 그리고 한민족

등록 2010-01-24 21:07수정 2010-01-24 21:56





초등통합논술 /
[난이도 수준-초등 고학년~중1]

2. 사람과 로봇
3. 단일민족
4. 법과 규칙

생각 열기

옆 그림은 우리나라를 행정구역으로 나누어 그린 지도입니다. 남북한의 행정구역을 잘 생각하여 □ 에 들어갈 행정구역 이름을 적어보세요.

지도요령 우리나라의 전체 지형과 행정구역을 이해하여 남북한이 모두 대한민국임을 생각할 기회가 되도록 지도한다. 더불어서 지역별 특산물이나 산맥 또는 강 이름 등을 적어보도록 활동 수업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단, 현재 북한에서 사용하는 행정구역은 우리가 알고 있는 구분과 다른 점이 있다는 사실도 정리하면 효과적인 수업이 될 수 있다.)



주제 읽기

다음 글을 잘 읽고 물음에 답하세요.

(가) 1998년 6월16일 “소떼가 판문점을 넘어 북한으로 갑니다.”

저녁 9시 뉴스 시간, 아나운서의 흥분된 목소리가 온 집안에 울렸습니다. 일기를 쓰고 있던 나는 얼른 거실로 나와 텔레비전을 보았습니다. 농사용 한우 500마리를 실은 차량의 행렬이 판문점을 통해 북한으로 가고 있었습니다.

커다란 눈을 끔벅거리며 북한 땅으로 가는 소떼의 모습을 바라보시던 할아버지께서는 “저 ㉠소들이 부럽구나. 소도 내 고향 땅을 밟는데, 나는 고향 땅을 가볼 수가 없다니….” 하며 눈시울을 붉히셨습니다.

할아버지께서는 6·25 전쟁 때 고향을 떠나오셨습니다. 잠깐이면 돌아갈 줄 알고, 가족들을 두고 혼자 남쪽으로 내려오셨는데, 다시는 못 가는 땅이 된 겁니다. 할아버지께서는 고향이 그리울 때면 ‘고향이 그리워도 못 가는 신세….’라는 노래를 부르며 눈물을 흘리시곤 합니다.

할아버지의 이런 모습을 볼 때면 내 마음도 이상해집니다.

‘왜 멀지도 않은 땅을 못 가는 것일까?’

할아버지는 뉴스가 끝나는 시간까지도 “저 소들은 좋겠다. 저 소들은 좋겠다.” 하며 계속 눈물을 닦으셨습니다.

<도덕 6>

(나) 왜 남북통일을 이루어야 하는가.

첫째,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다. 우리는 오랜 기간 단일민족 국가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외세에 의해 분단된 후 50여 년간 이산가족의 아픔을 겪어야 했고, 민족의 역사와 전통을 올바로 계승하지 못한 채 다른 모습으로 이어왔다. 하루빨리 통일을 이루어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고 이산가족의 아픔을 치유해야 한다.

둘째, 우리 민족이 평화롭게 살기 위해서다. 우리는 6·25전쟁을 통해 민족의 비극을 경험하였다. 이 땅에서 또다시 전쟁이 일어난다면 7천만 겨레가 멸망하게 될 것이다. 전쟁의 위험에서 벗어나 평화롭게 살기 위해서 우리는 남북통일을 이루어야 한다.

셋째, 경제적 발전을 위해서다. 통일이 되면 엄청난 국방비를 줄여 경제발전에 쓸 수 있다. 그리고 남한의 자본과 기술이 북한의 자원과 합쳐진다면, 우리는 경제 대국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세계의 평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다. 분단된 한반도에서는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어 세계 평화를 위협하고 있다. 남북통일은 세계 평화에 이바지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국제적 지위도 높여줄 것이다. <사회탐구 6>

1.

㉠소 : ㉡동질성 = ( ): ( )

2. 글 (가)의 내용을 참고하여 할아버지가 고향을 떠난 지가 몇 년이나 되었는지 계산해보세요.

3. 글 (가)의 내용으로 볼 때 할아버지께서 고향에 돌아가고 싶어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자신의 경험을 예로 들어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보세요.

첫째, ( )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 )

예를 들면 ( )

둘째, ( )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 )

예를 들면 ( )


주제 넓히기

다음 글을 보고 물음에 답하세요.

우리나라의 재외동포 수는 약 570만 명에 이르고, 재외동포들이 살고 있는 나라의 수는 150개국이 넘습니다. 이렇게 많은 우리 동포가 다른 나라에 가서 살게 된 까닭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우리 동포들이 주로 살고 있는 지역은 어디일까요?

중국에는 200여만 명의 우리 동포가 살고 있습니다. 우리 동포들이 중국으로 가서 살게 된 까닭은, 중국 만주지방이 원래 우리 민족의 활동무대였던 곳이라 전부터 우리 민족이 정착하여 농사를 짓고 있었으며, 특히 일제 강점기에 일제의 탄압을 피하여 많은 사람이 건너갔기 때문입니다. 또, 독립운동을 하기 위해 그곳으로 간 분들도 있었습니다.

일본에는 주로 일제 강점기에 징용이나 징병을 갔던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고, 최근에는 유학이나 일을 하기 위해 간 사람들이 남아서 살고 있습니다. 오늘날, 오사카 등 일본에는 60만 명이 넘는 동포가 살고 있습니다.

사탕수수농장의 인부로 하와이에 갔던 사람들로부터 시작된 미국 이민은 오늘날까지도 계속되어, 현재 200여만 명에 이르는 동포들이 미국에 살고 있습니다. 로스앤젤레스, 뉴욕, 시카고 등지에는 한국인 거리도 있습니다.

아프리카에도 4천여 명에 이르는 우리 동포들이 살고 있습니다. 우리 동포들은 무역업자, 의사, 선교사, 농업기술자로서 그곳에서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

우리 민족은 1960년대부터 남아메리카에 농업이민을 갔습니다. 처음에는 고생을 하였지만, 부지런한 우리 민족은 곧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그곳 사회에 한국인의 우수성을 보여주었습니다. <도덕 6 - 재외동포들의 조국 사랑>

1. 중국, 미국, 일본, 아프리카 및 나머지 국가들에 살고 있는 우리 교민의 수를 막대그래프를 그려 비교해보세요.

2. 중국, 일본, 미국, 아프리카 중 우리 동포들이 가장 오래전부터 살기 시작한 나라는 어디인가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