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 “학교장 권한 집중 탓”
교사 10명 가운데 7명은 최근 잇따르고 있는 교육계 비리를 전국적으로 만연된 현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지난 9일부터 이틀 동안 전국 평교사 59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중복 응답식) 결과를 11일 공개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최근 서울에서 발생한 ‘장학사 매관매직’ 사건에 대해 70.8%(423명)가 ‘전국적이고 보편적인 현상’이라고 답했다. 구체적 비리 유형으로는 △학생성적 비리 34.1% △근무평정 비리 68.3% △보직교사 임용 학내 인사 비리 62.7% △수학여행 리베이트 수수 58.4% △비정규직 직원 채용 관련 상납 요구 55.7% △학부모 대상 불법 찬조금 수수 57.6% △교과서·부교재·사설 모의고사 채택료 수수 44.7% 등을 꼽았다.
교사들이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교육 비리는 장학사 시험 등 승진 관련 비리(64.1%)였고, 그 다음은 시설공사 및 기자재 납품 비리(61.0%), 근무평정 관련 비리(57.0%) 등의 순이었다. 교육현장에 비리가 만연한 이유에 대해서는 85.2%가 ‘학교장 권한의 집중’을, 82.6%가 ‘공사 및 납품 관련 업자들의 로비’를 꼽았고, 79.1%는 ‘승진에 대한 요구’라고 답했다. 이춘재 기자 cj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