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등학교의 무상급식이 6월 지방선거의 핵심의제로 떠오른 가운데 15일 오후 무상급식이 이뤄지고 있는 과천 관문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직접 배식을 하고 있다.
단일주제 연대로는 사상최대…‘광우병’ 땐 1848곳
“지방선거에서 모든 후보들이 공약 내걸게 하겠다”
“지방선거에서 모든 후보들이 공약 내걸게 하겠다”
‘무상급식 국민연대’ 오늘 출범
‘친환경 무상급식’이 오는 6월 지방선거의 전국적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2천여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한 ‘친환경 무상급식 풀뿌리 국민연대’(무상급식 국민연대)가 16일 닻을 올린다. 시민·사회단체가 무상급식이라는 구체적 사안을 화두로 결성한 대규모 연대기구다. 공동사무처장을 맡은 김선희 ‘학교급식네트워크’ 사무처장은 “무상급식 국민연대는 지역 곳곳에서 진행되는 친환경 무상급식 운동을 연결해 하나의 거대한 여론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더 많은 이들을 설득할 것”이라며 “지방선거 공약화로 친환경 무상급식을 실현하고, 이번 선거가 정책선거로 진행되는 데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단일 주제 최대 규모 지금까지 가장 많은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한 연대기구는 2008년 촛불정국에서 1848개 단체가 결성한 ‘광우병 국민대책회의’였다.
그러나 16일 출범하는 무상급식 국민연대에는 ‘친환경 무상급식’에 동의하는 2천여 단체가 참여해, 하나의 주제 아래 모인 연대체로 가장 큰 규모가 됐다.
상임운영위원장을 맡은 배옥병 ‘안전한 학교급식을 위한 국민운동본부’ 상임대표는 “우리 모두가 친환경 무상급식의 이해당사자이며, 국민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사안이라 광범위한 시민·사회단체가 참가하게 됐다”고 밝혔다.
공동운영위원장인 이구경숙 한국여성단체연합 사무처장은 “친환경 무상급식은 이념 문제가 아니라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생활 문제인데다, 경제 불황과 광우병 사태로 먹을거리만큼은 국가가 제대로 책임져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진 결과”라고 말했다.
■ 친환경 무상급식 지방선거 공약화 2003년 친환경 무상급식 실현을 위한 ‘학교급식법 개정과 조례제정을 위한 국민운동본부’가 발족한 뒤 ‘안전한 학교급식 국민운동본부’로 재편되면서 학교급식운동은 꾸준히 진행돼왔다. 이런 흐름 속에서 6월 지방선거의 핵심 쟁점이 된 친환경 무상급식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무상급식 국민연대가 임시 조직으로 꾸려졌다.
이들은 ‘친환경 무상급식은 보편적 복지의 실현이다’ 등의 5대 공동행동 슬로건을 내세워 △전국 친환경 무상급식 운동 연결 △친환경 무상급식 실현을 위한 범시민 공동행동 △4월 임시국회에서 무상급식법 개정안 통과와 정부 예산 확보 △지방선거 후보 정책공약화 △지방선거 후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을 목표로 정했다. 무상급식 국민연대가 3개여월의 활동 기간에 가장 중점을 둘 사업도 국회에서 무상급식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는 것과 지방선거에서 모든 후보가 친환경 무상급식을 공약으로 내걸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친환경 무상급식에 동의하는 750만 서명운동을 벌이고, 친환경 무상급식을 공약하는 후보자들과 공동선언을 할 예정이다. 공동운영위원장인 박원석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은 “정당뿐 아니라 당선이 유력한 후보자들이 친환경 무상급식을 공약으로 채택하도록 할 방침”이라며 “이는 선거에서 생활정치 이슈가 전면 부각돼 정책 중심의 선거로 전환하는 의미도 갖는다”고 말했다. 김민경 기자 salmat@hani.co.kr
이들은 ‘친환경 무상급식은 보편적 복지의 실현이다’ 등의 5대 공동행동 슬로건을 내세워 △전국 친환경 무상급식 운동 연결 △친환경 무상급식 실현을 위한 범시민 공동행동 △4월 임시국회에서 무상급식법 개정안 통과와 정부 예산 확보 △지방선거 후보 정책공약화 △지방선거 후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을 목표로 정했다. 무상급식 국민연대가 3개여월의 활동 기간에 가장 중점을 둘 사업도 국회에서 무상급식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는 것과 지방선거에서 모든 후보가 친환경 무상급식을 공약으로 내걸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친환경 무상급식에 동의하는 750만 서명운동을 벌이고, 친환경 무상급식을 공약하는 후보자들과 공동선언을 할 예정이다. 공동운영위원장인 박원석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은 “정당뿐 아니라 당선이 유력한 후보자들이 친환경 무상급식을 공약으로 채택하도록 할 방침”이라며 “이는 선거에서 생활정치 이슈가 전면 부각돼 정책 중심의 선거로 전환하는 의미도 갖는다”고 말했다. 김민경 기자 salmat@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