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경태의 초·중딩 글쓰기 홈스쿨
고경태의 초·중딩 글쓰기 홈스쿨 /
[난이도 수준-중2~고1] 우리는 ‘우리는’을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한다. 수도권 새도시에 사는 한 30대 주부의 체험을 옮겨본다. 그녀는 7~8명 정도가 모이는 아파트의 주부모임에 나갔다가 기분이 상했다. 그 모임에서 왕언니로 통하는 이가 제멋대로 쓴 ‘우리’라는 주어 탓이었다. “에 갔더니 전철역부터 물이 다르더라고. 우리하곤 정말 달라.” 는 땅값이 비싸기로 유명한 또다른 수도권 새도시였다. 우리하곤 정말 다르다고? 우리? 결과적으로, 자신을 넘어 그곳에 모인 참석자 모두를 비하하는 화법이었다. ‘문제의 주부’는 문제의 발언을 계속했다. (모인 이 중 한 명을 가리키며) “어쩜 이렇게 날씬해? 자기는 운동 안 해도 되겠다. 우리는 죽어라 운동해도 요 모양인데….” 나머지 주부들의 얼굴이 일순 붉어졌다는…ㅎㅎ.
중딩 준석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 1학년이지만 나름 어엿한 중학생이라 뽐냈는데, 그 자부심을 여지없이 짓밟은 사건이다. 학원에서 만난 초딩 6학년 여학생이 ‘우리’라는 말로 싸잡아 같은 편 취급했기 때문이다. 상대의 소속을 모르고 얼떨결에 뱉은 소리였다. 현장에선 그냥 넘어갔지만, 준석은 집에 돌아와 그 초딩녀에게 이를 갈았다.
‘우리’에 관한 코믹 버전 몇 가지를 소개했다. 악의에 기인했다기보다는 눈치 없는 말실수에 해당한다. 오랫동안 입에 붙은 언어습관도 작용했다. 오늘은 그 ‘우리’의 뿌리에 관해 생각해본다.
앞의 40대 주부처럼 권위주의 정부 시절에 태어난 이들은 ‘우리’가 익숙하다. 개인보다는 공동체를 우선하던 때였다. 1968년 12월 제정된 국민교육헌장만 봐도 ‘우리’ 천지가 아니던가. “우리는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애국애족이 우리의 삶의 길이며….” 그래서인가. 엄마도 우리엄마, 집도 우리집, 학교도 우리학교, 나라도 우리나라다.
‘우리’는 한국인들의 무의식 속에 숨은 어떤 정체성의 결을 보여준다. 개별성보다는 소속을 중요시하는 문화. 부정적으로 따지면 ‘집단주의’다. 혈연, 지연, 학연 또는 기타 권위 있는 ‘우리’의 우산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려 한다. 개인보다는 ‘우리’에 묻어가고 싶어 한다.
글을 봐도 그렇다. ‘우리는’이라는 주어로 시작하는 글이 쓰기 편하다. 좋다는 의미가 아니다. 독자에게 욕먹을 확률이 적다. 보편타당한 규범이나 가치를 앞세워 적당한 논리로 눙치면 된다. 대의나 정도를 들먹이며 공자말씀 할 수 있다. “가만있으면 중간은 간다”가 아니라 “적당히 ‘우리’로 때우면 중간은 간다.” 결국 그러한 글엔 향기가 없다. 특색도 없다. 신문 사설이나 성명서가 단적인 예다. 나만의 경험, 나만의 취향, 나만의 입장이 자리 잡을 틈은 없다. 유럽 문학에서 나(I)라는 1인칭이 나타나기 시작한 시기는 18세기 초라고 한다. 공동체의 집단생활에서 개인이 점차 분리되는 현실을 반영해서였다. 언론 분야에 종사한 경험으로 밝히자면, 대한민국 미디어 글쓰기에서 ‘나’가 본격 등장한 때는 21세기 초였다. 한국의 글쓰기 문화에선 아직도 ‘나’보다는 ‘우리’가 지배자다. 어떤 주제로든 글을 쓸 때 ‘우리는’을 자제하자. 무색무취한 결과물을 원하지 않는다면 말이다. 사람들에게 읽히는, 색깔 있는 글쓰기를 바란다면 ‘나’라는 주어부터 떠올리자. 주관화의 함정은 경계하되…. 고경태 <한겨레> 오피니언넷 부문 기자 k21@hani.co.kr ※ 아이들이 쓴 글을 포함한 이 글의 전문은 아하!한겨레(ahahan.co.kr)와 예스24 ‘채널예스’에서 볼 수 있다.
[난이도 수준-중2~고1] 우리는 ‘우리는’을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한다. 수도권 새도시에 사는 한 30대 주부의 체험을 옮겨본다. 그녀는 7~8명 정도가 모이는 아파트의 주부모임에 나갔다가 기분이 상했다. 그 모임에서 왕언니로 통하는 이가 제멋대로 쓴 ‘우리’라는 주어 탓이었다. “
글을 봐도 그렇다. ‘우리는’이라는 주어로 시작하는 글이 쓰기 편하다. 좋다는 의미가 아니다. 독자에게 욕먹을 확률이 적다. 보편타당한 규범이나 가치를 앞세워 적당한 논리로 눙치면 된다. 대의나 정도를 들먹이며 공자말씀 할 수 있다. “가만있으면 중간은 간다”가 아니라 “적당히 ‘우리’로 때우면 중간은 간다.” 결국 그러한 글엔 향기가 없다. 특색도 없다. 신문 사설이나 성명서가 단적인 예다. 나만의 경험, 나만의 취향, 나만의 입장이 자리 잡을 틈은 없다. 유럽 문학에서 나(I)라는 1인칭이 나타나기 시작한 시기는 18세기 초라고 한다. 공동체의 집단생활에서 개인이 점차 분리되는 현실을 반영해서였다. 언론 분야에 종사한 경험으로 밝히자면, 대한민국 미디어 글쓰기에서 ‘나’가 본격 등장한 때는 21세기 초였다. 한국의 글쓰기 문화에선 아직도 ‘나’보다는 ‘우리’가 지배자다. 어떤 주제로든 글을 쓸 때 ‘우리는’을 자제하자. 무색무취한 결과물을 원하지 않는다면 말이다. 사람들에게 읽히는, 색깔 있는 글쓰기를 바란다면 ‘나’라는 주어부터 떠올리자. 주관화의 함정은 경계하되…. 고경태 <한겨레> 오피니언넷 부문 기자 k21@hani.co.kr ※ 아이들이 쓴 글을 포함한 이 글의 전문은 아하!한겨레(ahahan.co.kr)와 예스24 ‘채널예스’에서 볼 수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