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에 국립대를 신설한다는 방안이 급부상하자울산 이전을 검토하던 한국해양대가 반발하고 부산지역 대학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있다.
해양대 교수회는 24일 교육부가 최근까지 공언해 온 `울산 국립대 신설불가'라는 정책방향을 뚜렷한 이유도 없이 갑자기 번복하고 `국립대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며 교육부의 대학정책 일관성 유지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교수회는 "(국립대 신설은) 정원감축 등을 통한 대학구조조정정책을 시행하는 기관으로서 자기모순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이며 인천 및 경기지역의 국립대 신설 요구를 거부할 명분도 잃게 된다"고 주장했다.
교수회는 대학정원축소를 통한 대학의 구조조정정책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울산국립대 신설 기도를 즉각 중단하고 울산시민과 한국해양대 당사자들간 협상을 통한울산국립대 설립이 실현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라고 촉구했다.
해양대 교수회가 교육부를 향해 거침없는 목소리를 내뱉은 것은 지난달 24일 울산을 방문한 김진표 교육부총리가 `해양대의 이전'이든 `국립대의 신설'이든 6월말까지 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해양대의 울산 이전과 관련한 협의와 논의가 모두 중단됐기 때문이다.
해양대와 울산시 간에 캠퍼스 이전과 관련한 협상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교육부의 방침이 이미 국립대 신설 쪽으로 무게중심이 옮겨진 것으로 해양대는 해석하고 있다.
부산지역 국립대학은 울산에 국립대가 신설되면 교육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대학간 통폐합과 구조조정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방침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반대하는 분위기다.
부산의 사립대학들도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학과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울산에 국립대학이 신설되면 신입생 유치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다.
해양대 관계자는 "지난달 울산에 국립대 설립도 고려하고 있다는 교육부의 발표 이후 울산 이전과 관련한 모든 논의가 중단됐으며 지금은 교육부의 최종 결정만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연합뉴스)
해양대 관계자는 "지난달 울산에 국립대 설립도 고려하고 있다는 교육부의 발표 이후 울산 이전과 관련한 모든 논의가 중단됐으며 지금은 교육부의 최종 결정만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