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청 “학습부진·소외학생 지도 강화” 제도 개편
서울시교육청이 학생의 성적이 얼마나 올랐는지에 초점을 맞췄던 종전의 교장평가 제도를 학습부진 학생과 소외 학생 지도에 얼마나 노력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 위주로 대폭 개편했다.
시교육청은 22일 학교 간의 성적 경쟁을 가급적 피하고 책임교육과 인성교육, 소외 학생에 대한 배려 등을 강조한 ‘2010학년도 초·중등 교장 학교경영능력평가 계획’을 공개했다.
계획안을 보면, 시교육청은 학업성취도 평가(일제고사) 결과를 그대로 반영했던 ‘학력증진 성과 평가’(20점)를 폐지하고 ‘학생교육 성과 평가’(40점)를 신설했다. 학생교육 성과는 △학습부진 학생 지도 △사교육비 경감 △바른 인성 함양 △소외 학생 지도 등 4가지 세부 항목으로 나뉘어 평가된다.
특히 시교육청은 교장평가 방식을 객관적인 점수 비교에만 치중했던 ‘정량평가’ 위주에서 학교의 여건을 고려한 ‘정성평가’ 위주로 바꾸기로 했다. 또 지난해까지 학부모만 참여했던 교장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 해당 학교 교사의 만족도도 추가하기로 했다. 교사 만족도 조사는 △학교 교육과정 운영 △교수·학습활동 지원 △교원 인사 △시설·예산 등에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시교육청은 “평가 결과 에스(S), 에이(A), 비(B), 시(C), 디(D) 등급 가운데 최하위 10%에 해당하는 D 등급을 두차례 이상 받은 교장은 중임이 제한된다”며 “단, 평가결과가 최하 10%에 해당하더라도 학교여건 등 정상이 참작될 경우 C 등급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재훈 기자 n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