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교육청, 44곳으로 대상 확대
“전수조사때 정정건수 상당수”
“전수조사때 정정건수 상당수”
서울 강남의 자율형사립고인 ㅂ고가 지난해 대학입시 수시모집을 위해 고3 학생들의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를 무단으로 수정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서울시교육청이 감사에 착수한 가운데, 시교육청이 감사 대상을 서울의 특수목적고와 자사고 44곳 전체로 확대하기로 했다.
시교육청은 8일 브리핑을 통해 “오는 14일부터 서울지역 특목고와 자사고 전체에 대해 학생부 무단 수정 여부를 살피는 특정감사를 실시할 예정”이라며 “학생부 정정사항의 항목별 분석, 면담과 문답을 통한 학생부 정정사유 확인, 관련 서류 및 증빙자료 확인 등의 작업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지역에는 외국어고 6곳, 국제고 1곳, 과학고 3곳, 예체능계 특목고 7곳 등 17곳의 특목고가 있고, 자사고는 올 3월 문을 여는 곳까지 모두 27곳이 있다.
특목고와 자사고만 특정해 감사를 실시하는 이유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지난해 9월부터 2달 동안 서울지역 고등학교 308곳의 학생부 정정 실태에 대해 전수조사한 결과, 정정 건수가 가장 많은 상위 20개교 가운데 특목고가 4곳, 자사고가 4곳 등으로 40%를 차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특목고와 자사고는 학생을 선발하는 등 우수 학생 유치를 위한 욕구가 강하기 때문에, 입시 성적 관리에 좀더 많은 중압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시교육청은 또 올해 3월부터는 학생부의 특별활동, 봉사활동, 특기적성 등 정성평가 항목을 부적절하게 작성하거나 무단으로 수정한 사실이 드러나면 이를 ‘성적 조작’과 같은 비중으로 보고, 해당 교원에 대해 엄중한 조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시교육청은 ㅂ고의 고3 학생 370명 가운데 학생부 내용이 수정된 200명가량이 2011학년도 대학입시 수시모집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점수를 얻어 부정입학을 할 수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선 아직 사실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감사가 모두 끝나봐야 알겠지만, 현재로선 부정입학 여부를 파악하지 못했고, ㅂ고 학생 가운데 입학사정관제로 합격한 학생들의 명단을 대학 쪽에 통보할 계획도 없다”고 말했다. 이재훈 기자 na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남는 밥좀 주오” 글 남기고 무명 영화작가 쓸쓸한 죽음
■ 정부, 지원법 어겨 9년간 5조 떼먹었다
■ 멸종위기 소형 고래, 새만금 방조제서 떼죽음…왜?
■ 내가 잠든 사이 스마트폰 데이터통화 귀신이?
■ 전셋값에 임신도 미룰 판인데 집값만 띄우는 정부
■ ‘포세이돈도 반한 K5’ 기아의 미국 슈퍼볼광고
■ ‘동남권 신공항’ 어디로…한나라 밀양파-가덕도파 갈등
■ 정부, 지원법 어겨 9년간 5조 떼먹었다
■ 멸종위기 소형 고래, 새만금 방조제서 떼죽음…왜?
■ 내가 잠든 사이 스마트폰 데이터통화 귀신이?
■ 전셋값에 임신도 미룰 판인데 집값만 띄우는 정부
■ ‘포세이돈도 반한 K5’ 기아의 미국 슈퍼볼광고
■ ‘동남권 신공항’ 어디로…한나라 밀양파-가덕도파 갈등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