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직원노동조합(왼쪽)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16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앞에서 내부형 교장공모제 시행과 관련해 각각 찬반 의견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전교조는 내부형 교장공모제를 법제화하고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교총은 이번 교장공모제 심사가 진보 교육감의 코드인사라 주장하며 내부형 공모제를 반대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내부형 교장공모제를 반대하는 활동에 대해 청와대와 국가정보원(국정원)에 협조를 요청하겠다’는 내용의 문건을 인터넷 누리집에 올려 논란을 낳고 있다.
교총은 지난 14일 인터넷 누리집에 내부형 공모제로 교장 임용 후보에 오른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출신 교사의 임용에 반대하고, 이에 대한 항의 계획을 담은 ‘내부형 교장공모제 향후 활동계획’이라는 문건을 올렸다. 문건을 보면, 교총은 대내외 홍보 방안의 하나로 ‘청와대·국정원 등 협조요청(확정 발표 이전까지 계속)’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교과부 국장과 담당 과장에게 항의 활동 결과를 안내하고 보고를 요청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에 대해 동훈찬 전교조 대변인은 “교원단체가 어떻게 국가 정보기관에 협력을 요청한다는 발상을 할 수 있느냐”라며 “내부형 교장공모를 막기 위해 교과부, 청와대, 국정원이 서로 교감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비판했다.
논란이 일자 교총은 “단순한 실무적 실수”라고 해명했다. 김동석 교총 대변인은 “청와대에 협조요청을 하겠다는 것은 민원을 뜻하며, 국정원 협조요청은 교과부 등 여러 행정기관에 사실을 알린다는 차원에서 적어 놓은 계획일 뿐”이라며 “정치 사찰을 요청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국정원 관계자는 “이번 문건은 교총이 우리와 아무런 교감없이 만든 내부 보고서일 뿐”이라고 밝혔다.
이유진 기자 fro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