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가구 소득별 월평균 사교육비
서울 학부모들 지출금액 조사
아버지 학력 따른 차이도 2배
아버지 학력 따른 차이도 2배
서울 지역 가구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소득 규모에 따라 최대 3.3배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학력 수준에 따른 사교육비 지출 격차도 2배에 이르렀다.
서울시교육청이 배상훈 성균관대 교수(교육학)팀에 연구용역을 의뢰해 17일 공개한 ‘서울 교육비전 2030 보고서’를 보면, 설문조사에 참여한 서울시내 학부모 1760명 가운데 사교육비 지출 현황에 대해 답한 706명의 학부모 중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199만원 이하인 가구에서 지출하는 월평균 일반교과 사교육비 지출액은 자녀 한 명당 24만560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월평균 소득이 600만원 이상인 가구의 지출액은 80만7600원으로, 199만원 이하 가구의 3.29배나 됐다.
일반교과 사교육비는 국·영·수 등 학교 정규수업과 관련된 과목을 교습할 때 들어가는 비용으로, 예술과 체육 등 특기·적성 사교육비는 포함되지 않는다. 월평균 일반교과 사교육비의 전체 평균은 56만800원이었다.
또 아버지의 학력이 고졸 이하인 가구는 학생 한 명당 월평균 사교육비를 37만9200원 쓴 반면, 대학원 이상인 가구는 72만2800원을 지출해 1.91배의 차이가 났다. 보고서는 “사회 전반적으로 불평등이 확대하면서 계층간 교육비 격차가 학력 격차를 낳고 있다”고 분석했다.
가구당 월평균 사교육비를 학교급별로 보면, 유치원생은 한 명당 29만1500원, 초등학생은 42만8000원, 중학생은 56만8200원, 고등학생은 65만9500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의 교육활동에 대한 관심도 소득 수준과 아버지 학력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났다. 월평균 소득이 199만원 이하인 가구의 학부모들 가운데 학교를 방문하거나 담임교사 등과 연락한 적이 한 번도 없는 학부모 비율은 43.7%나 됐지만, 600만원 이상 가구의 학부모들은 13.4%에 불과했다. 아버지 학력이 고졸 이하인 가구에서는 학교를 방문하거나 담임교사 등과 연락한 적이 한 번도 없는 학부모 비율이 40.2%였지만, 대학원 이상인 가구의 학부모는 이 비율이 12.3%에 그쳤다.
이재훈 기자 n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