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모의수능 전국에서 수능 모의평가 시험이 치러진 2일 오전 서울 용산구 용산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들이 언어영역의 문제를 풀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서울 일반고 4개자치구 출신
서울대 133명 중 68명 뽑아
고대·이화여대도 ‘강남 1위’
서울대 133명 중 68명 뽑아
고대·이화여대도 ‘강남 1위’
주요대학 10곳 합격생 보니
서울대 등 주요 10개 대학의 2011학년도 수시모집 입학사정관 전형에선 특히 서울대와 고려대, 이화여대, 중앙대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양천구 등 ‘사교육 특구’ 학생들을 많이 뽑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 일반고 195곳의 입학사정관 전형 합격자 수를 보면, 서울대의 경우 합격생 133명 가운데 30명이 강남구 고교 출신이었다. 강남구의 학생 100명당 서울대 합격생 수는 0.44명으로 25개 자치구 가운데 비율이 가장 높았다. 서초구(0.34명), 강동구(0.27명), 송파구(0.19명) 등이 뒤를 이었고, 양천구는 0.17명으로 6위를 차지했다. 강남 3구와 양천구의 100명당 평균 합격자 수는 0.28명으로 나머지 21개구의 0.1명에 견줘 2.8배나 많았다. 이 4개 자치구 출신 합격자 수는 모두 68명으로 전체 합격자의 절반이 넘었다.
고려대 역시 합격생 402명 가운데 강남구 출신이 72명으로, 학생 100명당 합격생 수(1.06명)가 가장 많았다. 서대문구(0.76명), 중구(0.7명), 용산구(0.68명), 양천구(0.65명) 등이 뒤를 이었다. 강남 3구와 양천구를 합하면 100명당 0.73명(합격자 수 175명)으로 나머지 21개구의 0.34명에 견줘 2.1배 많았다. 이화여대도 강남구 출신 합격생이 전체 합격생 79명 가운데 19명, 학생 100명당 합격생 수 0.28명으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강남 3구와 양천구를 합하면 0.15명(37명)으로 나머지 21개구 0.06명의 2.5배였다. 중앙대 역시 강남구 출신이 0.27명으로 1위였고, 강남 3구와 양천구를 합하면 0.11명으로 나머지 21개구 0.04명의 2.75배였다. 반면 연세대는 은평구 출신 합격생이 전체 79명 가운데 9명으로, 학생 100명당 합격생 수(0.28명)가 가장 많았다. 강남 3구와 양천구 출신 비율은 0.08명으로 나머지 21개구의 0.09명보다 오히려 적었다. 이런 차이는 연세대의 경우 공인 외국어 성적 등이 반영되는 전형을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뺀 반면, 고려대와 이화여대 등은 그대로 포함시켜 사교육을 많이 받고 꾸준히 ‘스펙’ 관리를 해온 학생들에게 유리하도록 전형을 실시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학생 100명당 합격생 수를 학교별로 살펴본 결과에서도, 서울대는 195개 일반고 가운데 상위 30위 안에 든 학교에 강남 3구와 양천구 소속 고교가 19개나 포함됐다. 고려대는 15개, 이화여대는 10개, 중앙대는 11개를 차지했다. 유성룡 이투스 입시정보실장은 “서울대는 특기자 전형에서 외국어와 수학, 과학 등에 대한 심층면접으로 학생을 뽑았고, 고려대는 비교과 위주의 전형을 통해 ‘스펙’ 관리를 해온 학생을 뽑은 것이 문제였다”며 “초·중·고교에선 문제풀이와 점수 올리기 식 교육을 하게 하면서, 그에 어울리지 않는 입학사정관제를 적용하면 사교육 밀집 지역 학생들이 유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입학사정관제 정착에 60년이 걸린 미국과 달리 4년 만에 제도를 급속하게 확대한 정부의 ‘속도전’이 계층과 지역, 학교 간 격차를 키웠다는 지적도 나온다. 성기선 가톨릭대 교수(교육학)는 “겉으로는 다양한 적성과 잠재력을 본다고 하지만, 대학들은 이미 암묵적으로 출신 학교와 가정배경을 통해 경제적 자본과 문화적 자본 등을 살펴보고 있었다”며 “정부가 무리하게 입학사정관 전형을 확대하면서, 대학들이 잠재력을 평가할 전문성을 갖출 시간을 갖지 못했던 것도 문제”라고 말했다.
이재훈 진명선 김민경 기자 nang@hani.co.kr
고려대 역시 합격생 402명 가운데 강남구 출신이 72명으로, 학생 100명당 합격생 수(1.06명)가 가장 많았다. 서대문구(0.76명), 중구(0.7명), 용산구(0.68명), 양천구(0.65명) 등이 뒤를 이었다. 강남 3구와 양천구를 합하면 100명당 0.73명(합격자 수 175명)으로 나머지 21개구의 0.34명에 견줘 2.1배 많았다. 이화여대도 강남구 출신 합격생이 전체 합격생 79명 가운데 19명, 학생 100명당 합격생 수 0.28명으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강남 3구와 양천구를 합하면 0.15명(37명)으로 나머지 21개구 0.06명의 2.5배였다. 중앙대 역시 강남구 출신이 0.27명으로 1위였고, 강남 3구와 양천구를 합하면 0.11명으로 나머지 21개구 0.04명의 2.75배였다. 반면 연세대는 은평구 출신 합격생이 전체 79명 가운데 9명으로, 학생 100명당 합격생 수(0.28명)가 가장 많았다. 강남 3구와 양천구 출신 비율은 0.08명으로 나머지 21개구의 0.09명보다 오히려 적었다. 이런 차이는 연세대의 경우 공인 외국어 성적 등이 반영되는 전형을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뺀 반면, 고려대와 이화여대 등은 그대로 포함시켜 사교육을 많이 받고 꾸준히 ‘스펙’ 관리를 해온 학생들에게 유리하도록 전형을 실시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분석 대상 10개 대학의 입학사정관 전형
이재훈 진명선 김민경 기자 n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