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분위, 정이사 9명중 5명 옛재단 추천 인물 선임
상지대와 세종대 등에 이어 동덕여대에도 회계 부정 등의 비리로 물러났던 옛 재단 쪽 인사들이 대거 정이사로 선임됐다.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사학분쟁조정위원회(사분위)는 14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임시이사 체제로 운영돼온 동덕여대의 정상화 방안을 심의한 결과, 옛 재단 쪽이 추천한 인사 5명과 학교 구성원, 교과부가 추천한 인사 2명씩 등 9명의 정이사를 선임했다.
유극렬 동덕여대 교수협의회 의장은 “교과부가 종전이사로 인정했던 9명 중 6명이 학내 구성원의 정상화 방안에 동의했지만, 사분위는 ‘종전이사 과반수가 동의하는 안이 있을 경우 그 안을 수용한다’는 자체 내규조차 어긴 채 비리재단 쪽 종전이사 3명의 손을 들어줬다”며 “재심의를 청구하겠다”고 말했다.
사분위는 또 대구대에 대해서는 1994년 당시 교육부 감사에서 교비 무단전용 등으로 물러난 △옛 재단 쪽 추천 인사 3명 △학내 구성원 추천 인사 2명 △임시이사 1명 △교과부 추천 인사 1명을 정이사로 선임했다. 양진오 대구대 교수(국문학)는 “학내 구성원 80%의 지지를 받아 마련한 자체 정상화 방안이 채택되지 않아 유감”이라며 “정이사로 선임된 이들의 면면을 파악한 뒤 향후 대응 방침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분위는 비리재단 복귀를 둘러싸고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덕성여대와 대법원이 비리재단 쪽 이사들에 대해 이사 자격이 없다고 판결한 부산 브니엘고에는 다시 임시이사를 파견하기로 했다. 하지만 비리재단 쪽 인사들을 대거 정이사로 선임한 사분위의 결정에 반발해 경기도교육청이 낸 경기 화성시 안용중에 대한 재심의 요청은 기각돼, 옛 재단 쪽 인사들의 정이사 선임이 확정됐다. 이재훈 진명선 기자 n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