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공과대학에 진학하길 희망하는 고1 학생입니다. 그런데 최근 대학과 언론에서 발표하는 2008학년도 입시 내용을 보면, 내신·수능·논술 세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한다고 하더군요. 지금껏 저는 공과대학에 가려면 내신과 수능 성적만 좋으면 되는 줄 알았는데, 논술까지 잘 봐야 한다고 해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앞으로 어떻게 공부하는 것이 좋은지 알려주면 고맙겠습니다.
내신 중점 두고 논술 다져야
[답변] 지난 6월27일 서울대가 2008학년도 입학전형 기본 계획을 발표한 이후 주요 대학들도 잇따라 2008학년도 입시 방침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대학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수시 모집은 학생부 성적(내신)과 면접 및 논술 위주로, 정시 모집은 학생부 성적과 수능 등급, 논술 위주로 선발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2008학년도 입시에 성공하려면 학생부와 수능, 논술 등을 모두 잘하는 ‘세 마리 토끼를 잡는 공부’를 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 것입니다. 그런데 그렇게 하기가 그리 쉽지만은 않은 듯합니다.
특히 고1 학생들은 고교 3학년 전과정에서 출제되는 수능과, 10월 무렵 구체적 출제 방안이 발표될 예정이라는 논술 등을 어떻게 준비하는 것이 좋은지 방향조차 잡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학교 공부에만 전념하며 관심을 뚝 끊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어쨌든 변화하는 입시 제도에 제대로 적응하며 공부하는 것이 좋겠지요. 최근의 대학 입시는 일종의 정보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입시 정보가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질문자는 희망 대학이 어떻게 신입생을 선발하는지를 먼저 파악해 둘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학년별로 다음과 같이 공부할 것을 권합니다. 중상위권 학생은 더욱 그렇습니다.
△1학년 -내신에 중점을 두며, 논술 기초 다지기 학습을 해야 합니다. 튼실한 내신은 수능뿐만 아니라 논술 대비의 확실한 기초가 됩니다. 특히 지원 희망 대학을 10개 이내로 정리해 이들 대학의 논술 출제 경향을 파악하고 장기 학습 계획을 세워 실천하되, 대학별 기출 및 예상 문제 등을 직접 풀어 보는 학습은 삼가고, 논술 대비 기초 다지기에 힘써야 할 것입니다. △2학년 -내신과 논술 실력 다지기, 수능 대비 학습을 병행해야 합니다. 내신은 고교 3년 내내 열심히 해야 합니다. 수시 모집으로 대학을 가고자 할 때는 더욱 그렇습니다. 1학년 때에 학습해 둔 기초를 바탕으로 논술 실력 향상에 힘쓰며, 2학기부터는 본격적인 수능 대비 학습도 함께 하길 바랍니다. △3학년 -논술과 수능 실력 향상을 위한 전략적인 학습을 해야 합니다. 희망 대학을 서너 곳으로 압축하고 구체적인 학습 계획을 월별 또는 주별로 세워 실천해야 합니다. 특히 논술 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합니다. 간략하게나마 학년별 학습 방향을 소개했으나, 구체적 학습 방향과 계획은 질문자의 학습 능력을 누구보다 잘 아는 담임 선생님과 상의해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유성룡/메가스터디 입시정보실장 livingriver@megastudy.net
△1학년 -내신에 중점을 두며, 논술 기초 다지기 학습을 해야 합니다. 튼실한 내신은 수능뿐만 아니라 논술 대비의 확실한 기초가 됩니다. 특히 지원 희망 대학을 10개 이내로 정리해 이들 대학의 논술 출제 경향을 파악하고 장기 학습 계획을 세워 실천하되, 대학별 기출 및 예상 문제 등을 직접 풀어 보는 학습은 삼가고, 논술 대비 기초 다지기에 힘써야 할 것입니다. △2학년 -내신과 논술 실력 다지기, 수능 대비 학습을 병행해야 합니다. 내신은 고교 3년 내내 열심히 해야 합니다. 수시 모집으로 대학을 가고자 할 때는 더욱 그렇습니다. 1학년 때에 학습해 둔 기초를 바탕으로 논술 실력 향상에 힘쓰며, 2학기부터는 본격적인 수능 대비 학습도 함께 하길 바랍니다. △3학년 -논술과 수능 실력 향상을 위한 전략적인 학습을 해야 합니다. 희망 대학을 서너 곳으로 압축하고 구체적인 학습 계획을 월별 또는 주별로 세워 실천해야 합니다. 특히 논술 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합니다. 간략하게나마 학년별 학습 방향을 소개했으나, 구체적 학습 방향과 계획은 질문자의 학습 능력을 누구보다 잘 아는 담임 선생님과 상의해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유성룡/메가스터디 입시정보실장 livingriver@megastudy.net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