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랑의 미래직업탐방 / 사용자경험(UX) 컨설턴트
요즘 버스나 지하철을 타면 휴대폰으로 뉴스 검색을 하거나 영화를 보는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있다. 최근에는 태블릿피시를 사용하며 이동시간을 즐기는 사람들도 쉽게 만날 수 있다. 통신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 등의 보급으로 다양한 기기와 콘텐츠를 접할 기회가 크게 늘어난 것이다. 이와 함께 사용하기 더 편리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도 활발해지고 있다.
사용자경험 컨설팅회사 ㈜씽크유저의 민은식 팀장(사진)은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 컨설팅을 통해 웹, 스마트폰, 태블릿피시 그리고 그 안에 담기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어떻게 하면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지 고민한다”며 “통신기기 외에도 갈수록 기능이 복잡해지는 가전제품, 자동차, 내비게이션 등도 사용자경험 컨설팅의 대상”이라고 전했다.
사용자경험 컨설턴트의 주요 업무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제품 사용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때 컨설턴트는 실제 사람들이 제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사용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기도 한다. 다른 주요 업무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즉, 현재 사람들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만족을 느끼는 요소는 무엇이고, 이에 더해 새로 원하는 니즈(needs)가 무엇인지를 찾아 새로운 제품 기획안을 제안한다.
민 팀장은 “사용자경험은 제품이나 서비스 자체에 대한 연구라기보다는 이를 사용하는 사람에 대한 연구”라며 “따라서 사람의 행동 이면에 있는 원인과 의미를 발견하고 분석하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래서 사용자경험 컨설턴트 가운데에는 심리학, 사회학, 인문과학을 전공한 사람들이 많은 편이다. 또한 제품의 디자인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시각디자인, 산업디자인 관련 전공자도 늘고 있다. 민 팀장은 “생각보다 다양한 학문을 전공한 분들이 일하고 있다”며 “나는 역사학을 전공했는데, 겉으로 보이는 현상들의 숨겨진 의미를 찾고 분석하는 데 있어 인문학적 소양이 도움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사용자경험 컨설턴트는 사용자경험 전문 리서치회사나 디자인회사에서 근무하며, 포털사이트 업체, 게임사, 정보통신 제조회사 등에서 프로젝트를 의뢰받아 업무를 수행한다.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연구센터 전임연구원
관련전공 심리학(인지심리학),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시각디자인, 산업디자인 등
업무수행능력 관찰력, 분석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판단과 의사결정
지식 심리, 제품디자인, UI, 공학과 기술
성격 인내, 꼼꼼함, 성취/노력, 혁신, 리더십
흥미 탐구형(Investigative), 진취형(Enterprising)
민은식 ㈜씽크유저 팀장
업무수행능력 관찰력, 분석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판단과 의사결정
지식 심리, 제품디자인, UI, 공학과 기술
성격 인내, 꼼꼼함, 성취/노력, 혁신, 리더십
흥미 탐구형(Investigative), 진취형(Enterprising)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