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흥수 출제위원장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출제위원장인 이흥수 전남대 교수(영어교육과·사진)는 10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수험생들의 수능 준비 부담을 완화하고 사교육비를 경감하고자 하는 정부 정책에 부응해 <교육방송>(EBS) 교재와 강의 문제를 70% 이상 연계했다”며 “지난해에는 교육방송 교재 연계에도 불구하고 어려웠다는 지적이 많이 니와, 이번 수능에서는 교재 내용을 지나치게 변형하지 않고 출제해 연계 체감도를 높였다”고 말했다.
-지난 9월 수능 모의평가에선 언어나 수리의 경우 만점자 비율이 1.9% 이상 나왔다. 이번 수능은 어땠나?
“지난해 수능보다는 쉽게 출제했지만, 9월 모의평가 때 조금 쉬웠다는 지적이 나온 언어와 수리는 조금 더 어렵게, 9월 모의평가 때 조금 어려웠던 외국어는 조금 더 쉽게 출제했다.”
-영역별 만점자 비율 1%를 목표로 했는데?
“지난 6월과 9월 수능 모의평가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해서 1.0~1.5% 사이가 되도록 최대한 노력했다.”
-교육방송 교재 오류가 많다는 지적이 계속 나왔는데?
“교재 오류 정정 내용을 다 파악했고, 출제위원들이 오류를 모두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학생들에게 불이익이 가지 않도록 노력했다.”
-지난해 어렵게 냈던 건 최상위권 학생들 변별력 때문이었는데, 올해 쉽게 낸 이유는?
“수능을 어렵게 출제하면 상위 1~2등급 학생들 변별력이 높다. 하지만 표준점수가 올라가서 사회적 문제가 야기된다. 그런 문제점들을 두루 감안해서, 제일 중요한 것은 난이도의 일관성이나 예측 가능성이기 때문에 지난해보다 쉽게 출제한 것이라고 보면 되겠다.” -고난도 문제는 교육방송 교재와 연계된 70%를 뺀 나머지 30%에서 나왔나? “교육방송 교재 문제가 모두 쉽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교육방송 교재 안에서도 고난도 문제가 있고, 그 외 30%에도 고난도 문제가 있다. 영역별로 차이가 난다.” 이재훈 기자 nang@hani.co.kr
“수능을 어렵게 출제하면 상위 1~2등급 학생들 변별력이 높다. 하지만 표준점수가 올라가서 사회적 문제가 야기된다. 그런 문제점들을 두루 감안해서, 제일 중요한 것은 난이도의 일관성이나 예측 가능성이기 때문에 지난해보다 쉽게 출제한 것이라고 보면 되겠다.” -고난도 문제는 교육방송 교재와 연계된 70%를 뺀 나머지 30%에서 나왔나? “교육방송 교재 문제가 모두 쉽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교육방송 교재 안에서도 고난도 문제가 있고, 그 외 30%에도 고난도 문제가 있다. 영역별로 차이가 난다.” 이재훈 기자 n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