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대상 중부·경동대, 고양·양주에 ‘제2 캠퍼스’
“학생 충원 위해 불가피”…수도권 집중 가속화 우려
“학생 충원 위해 불가피”…수도권 집중 가속화 우려
충남 금산의 중부대는 2014년 경기도 고양에 제2 캠퍼스를 개교하고 기존의 57개 학과 가운데 24개 학과(42.1%)를 이전한다. 신입생 모집 정원(2235명)의 38.7%(865명)도 고양캠퍼스에서 뽑는다. 중부대 관계자는 “2005년에 대학 자체적으로 외부 컨설팅을 받았으나 직원들의 월급을 30% 삭감하는 것 말고는 지역적인 한계를 벗어나 생존할 수 있는 길이 없었다”며 “2009년부터 문화·예술 분야에서 발전 가능성을 찾았고 학생 충원이나 취업률 등을 고려해 금산을 벗어나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존립 위기에 내몰린 지방대가 수도권 이전으로 돌파구를 찾고 있다. 인구와 산업의 지역 불균형을 고려하지 않은 채 학생 충원율이나 취업률 등의 지표를 적용하는 교육과학기술부의 대학 구조조정으로 결국 수도권 집중 현상만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중부대와 강원도 고성의 경동대는 지난 5월 교과부로부터 학교 이전 계획에 대한 1차 승인을 받았다. 경동대는 2014년 경기도 양주에 제2 캠퍼스를 개교할 계획이다. 이는 2006년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지원 특별법’이 시행되면서, 주한미군이 반환한 경기도의 14개 시·군에 학교가 이전할 수 있게 된 덕에 가능해졌다. 그 이전에는 수도권 과밀화 우려에 따라 제정된 수도권 정비 계획법에 의해 수도권으로의 학교 이전이 불가능했다.
2009년 재학생 충원율이 70.8%까지 떨어졌던 경동대 관계자는 “수도권 학생들은 통학이 가능한 대학을 선호하고, 고성의 학생들도 지역에 있는 대학보다는 수도권의 대학을 다니고 싶어한다”며 “지역에서는 산업 기반이 없어 일자리를 구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수도권 이전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수도권 이전을 못하는 대학들은 궁여지책으로 수도권에 인접한 충북이나 충남으로 눈을 돌리는 실정이다. 전남 영암의 대불대는 내년 3월 개교를 목표로 충남 당진에 제2 캠퍼스를 조성하고 있으며, 전북 남원과 충남 아산에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는 서남대는 남원의 정원을 아산으로 넘기고 있다. 2008년 1852명이었던 남원의 정원은 2011년 921명으로 반토막이 났다. 반면 아산은 같은 기간 305명에서 1036명으로 크게 늘었다. 서남대 관계자는 “교육의 질과 상관없이 수도권에서 멀어질수록 학생 모집이 어렵다”며 “원래는 수도권으로 이전하려고 했으나 우리가 검토했을 때는 불가능해 그나마 수도권에 가까운 아산에 캠퍼스를 조성했다”고 말했다.
특히 중부대, 경동대, 대불대, 서남대는 모두 지난 9월 재정지원 제한 대학에 선정돼 구조조정의 벼랑에 서 있는 대학들이다. 교과부가 추진하는 구조조정의 결말을 비관적으로 보는 이유 중의 하나다. 최근 공과대학을 수도권에 인접한 원주캠퍼스로 이전하려는 계획으로 내홍을 겪기도 한 강릉원주대의 한 교수는 “수도권 대학과 똑같은 지표로 지방대를 평가하면 수도권으로 대학을 집중시켜 지역 불균형이 가속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