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나는 노력, 정정당당한 경쟁, 고된 훈련을 이겨내고 만끽하는 승리의 기쁨은 많은 사람들을 스포츠의 매력에 빠지게 한다. 스포츠를 보고 즐기는 사람들이 크게 늘면서 스포츠산업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기업에서는 회사의 인지도를 높이고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스포츠를 홍보와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다. 스포츠마케터는 스포츠를 통해 각종 행사지원, 선수지원, 스포츠용품 판매 등을 대행하는 마케팅전문가를 말한다. ‘스포티즌’의 김평기(사진) 부사장은 “스포츠마케터는 스포츠로 마케팅을 하는 사람”이라며, “스포츠에 대한 사랑과 열정은 기본이고, 마케팅에 대한 지식이 필요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스포츠마케터는 각종 스포츠행사를 개최하고 후원하면서 기업명, 단체명, 상품명 등을 마케팅 하거나, 티브이, 라디오, 신문, 잡지 등의 매체를 통해 홍보와 마케팅을 하게 된다. 유사한 직업으로 스포츠에이전트는 크게 보면 스포츠마케터에 속한다. 스포츠에이전트는 주로 운동선수가 운동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연봉협상, 이적문제 등을 대행하고 무명선수를 발굴해 성장시키는 일을 한다.
스포츠마케터로 활동하는 사람 중에는 경영학이나 마케팅을 중심으로 스포츠경영학, 스포츠마케팅학, 체육학, 사회체육학 등을 전공한 사람이 많다.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포츠시장을 분석하기 위한 통계지식, 광고 및 홍보 매체에 대한 지식, 외국어 실력 등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국제대회 유치, 중계권 협상, 선수들의 외국대회 참가 등이 늘면서 국제경영 감각과 외국어실력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김 부사장은 “대학에서 불어를 전공하고 경영학을 복수전공 했다”며 “대기업에서 7년 동안 일하기도 했는데, 스포츠마케터는 너무나도 좋아하는 스포츠, 그리고 그동안 공부한 것들을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일”이라고 했다.
스포츠마케터가 주로 일하는 곳은 스포츠마케팅 전문기업, 대기업 스포츠마케팅팀, 유명 스포츠의류·용품회사, 스포츠미디어, 프로스포츠팀 등이 있다. 채용은 기업마다 다르지만 주로 공개채용이나 수시채용을 통해 이뤄진다. 김 부사장은 “스포티즌에서는 인턴십을 통해서도 마케터를 채용한다”며, “방학을 이용해 2~3개월 동안의 단기 인턴십에 참여해보거나 6개월~1년 과정의 장기 인턴십에 참여해보면 스포츠마케터의 세계를 직접 경험할 수 있다”고 했다.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연구센터 전임연구원
관련학과 경영학과, 마케팅학과, 스포츠경영학과, 스포츠마케팅과 등
업무수행능력 문제해결, 창의력, 판단과 의사결정, 학습전략, 선택적 집중력
지식 마케팅, 경영, 외국어, 사회와 인류, 의사소통과 미디어
성격 정직성, 성취, 노력, 인내, 리더십, 혁신
흥미 진취형(Enterprising), 관습형(Conventio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