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상담사 최정인 부장
[이랑의 미래직업탐방] 상담전문가
살면서 어려움에 빠지거나 고민이 생기면 사람들은 으레 자신을 도와줄 사람을 찾게 된다. 주로 찾게 되는 상대로는 친구나 부모님인 경우가 많고, 최근에는 상담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사람도 크게 늘었다. 상담전문가는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갈등 상황에 놓인 사람들이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문가를 말한다. 상담전문가 중에는 학교 학생상담실, 시립 청소년상담실, 공공기관 상담실, 사설 상담소 등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청소년상담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밖에 아동, 부부, 노인 등을 상담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서울특별시청소년상담지원센터에서 청소년상담사로 활동하는 최정인(사진) 부장은 “청소년들을 만나 그들의 심리적인 문제를 진단하고 상담한다”며 “각종 심리검사, 집단상담, 상담프로그램 등을 통해 청소년들이 스스로 어려움을 헤쳐나갈 수 있게 돕는다”고 전했다. 청소년상담사는 청소년들의 학습이나 진로문제, 가족문제, 성격문제 등을 주로 다룬다. 최근에는 인터넷 중독 상담건수가 크게 늘었다. 일을 하며 느끼는 보람과 관련해서 최 부장은 “상담을 통해 청소년들이 문제행동을 고치거나 적응해나가는 모습을 볼 때 보람이 크다”며 “학교 대신 가출을 선택했던 아이들이 상담 이후에 하고 싶은 일을 찾으려고 노력한다든지, 가정폭력과 왕따 등으로 힘들어하던 아이가 다시 공부를 시작하고 자립하는 모습을 볼 때 뿌듯하다”고 전했다.
청소년상담사를 비롯한 상담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대졸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인간의 심층적인 문제를 이해하고 다루기 위해서는 상담심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고 일정기간 수련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때문에 대학에서 심리학, 교육학, 아동학 등을 전공하고 상담심리 관련 석사 및 박사학위 과정에 진학하는 경우가 많다. 최 부장은 “상담 분야에서 통용되는 자격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에서 발급하는 상담심리사(1, 2급)와 국가자격인 청소년상담사(1, 2, 3급)가 있다. 자격을 취득하는 동안 상담지식과 경력을 쌓을 수 있어서 자격증이 있으면 전문가로 활동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랑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연구센터 전임연구원
관련전공 심리학과, 교육학과, 아동학과, 청소년학과, 사회복지학과 등
업무수행능력 듣고 이해하기, 문제해결, 가르치기, 선택적 집중력, 행동조정
지식 상담, 심리, 사회와 인류, 철학과 신학, 국어
성격 리더십, 정직성, 타인에 대한 배려, 자기통제, 인내 흥미 사회형(Social), 탐구형(Investigative)
성격 리더십, 정직성, 타인에 대한 배려, 자기통제, 인내 흥미 사회형(Social), 탐구형(Investigative)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