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랑의 미래직업탐방
[이랑의 미래직업탐방] 전문상담교사
학교폭력 문제와 집단따돌림 등으로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피해학생들이 경험하는 불안이나 우울, 자살충동뿐 아니라, 가해학생들의 낮은 자존감과 공격적인 성향 역시 그대로 방치해선 안 되는 문제다. 이에 따라 청소년들이 안고 있는 각종 고민과 문제들을 전문적으로 상담하는 전문상담교사의 구실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전문상담교사는 주로 교육지원청이나 학교의 상담실에서 근무한다. 또는 교육지원청에서 운영하는 위센터(Wee센터) 및 위클래스(Wee클래스·학교 단위의 학생공감상담실)에서도 다양한 상담과정을 진행한다.
경기도 군포의왕 교육지원청에서 전문상담교사로 근무하는 김성관(사진) 교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인상담이나 집단상담을 실시하고,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교육도 한다”며 “전문상담교사는 교육공무원 신분이기 때문에 근무시간이나 보수 역시 일반교사와 동일하다”고 설명했다.
김 교사는 “이 일은 심리적으로 힘들어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는 일”이라며 “동료교사나 학부모에게도 청소년 문제에 대해 전문적으로 조언한다는 점에서 보람이 크다”고 했다. 이 외에도 전문상담교사는 청소년지원센터 같은 학교 밖 유관기관들과 협력하며 지역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한편, 업무의 힘든 점에 대해서는 “주로 학교 상담실에 근무하기 때문에 동료교사와의 친밀감이 부족하고, 교육지원청 소속 전문상담교사들은 여러 학교를 순회해야 돼서 소속감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전문상담교사로 일하기 위해서는 전문상담교사 1급이나 2급 자격증을 취득하고 임용고사에 합격해야 한다. 자격증은 대학의 심리학과, 청소년학과, 상담학과 등을 전공하고 교직과정을 이수하면 취득할 수 있다. 만약 대학에서 교직이수를 못 했을 경우, 교육대학원에서 상담심리교육을 전공하면 교직이수와 마찬가지로 전문상담교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상담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 뒤에는 실습을 통해 상담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유능한 전문가의 지도와 조언을 받으며 장기적이고 다양한 상담을 훈련받아야 한다. 김 교사는 “상담활동은 뿌듯한 일이기도 하지만 고달픈 일이기도 하다”며 “상담 긴장을 해소하기 위해 유머감각을 키우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연구센터 전임연구원
관련전공 심리학과, 청소년 및 상담 관련 전공 등
관련자격 전문상담교사 1급, 2급 업무수행능력 듣고 이해하기, 문제해결, 가르치기, 선택적 집중력, 행동조정 지식 상담, 심리, 사회와 인류, 철학과 신학, 국어 성격 리더십, 정직성, 타인에 대한 배려, 자기통제, 인내 흥미 사회형(Social), 탐구형(Investigative)
관련자격 전문상담교사 1급, 2급 업무수행능력 듣고 이해하기, 문제해결, 가르치기, 선택적 집중력, 행동조정 지식 상담, 심리, 사회와 인류, 철학과 신학, 국어 성격 리더십, 정직성, 타인에 대한 배려, 자기통제, 인내 흥미 사회형(Social), 탐구형(Investigative)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