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사 가이드라인, 전문가 생각은
교육운동단체-논술로 당락땐 본고사, 최소반영원칙 꼭 필요
대학쪽-반영비율 적용 불필요, 문제유형 기준 제시만
대학쪽-반영비율 적용 불필요, 문제유형 기준 제시만
“논술이 주요한 전형요소가 돼서는 안된다.” “반영비율 규제는 받아들일 수 없다.” 교육부가 다음달 말까지 대학입시 본고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로 한 가운데, 교육운동단체와 대학들이 엇갈린 주문을 내놓고 있다. 전교조 등 교육개혁운동 진영 쪽은 “대학별 고사가 입학 전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면 본고사에 해당한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문제 유형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논술 등 대학별고사가 전형에서 당락을 좌우할 만큼 주요하게 활용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김정명신 함께하는교육시민모임 회장은 “대학이 낸 문제로 줄 세워서 뽑으면 그게 본고사”라면서 “교육부와 서울대는 ‘창의성과 글쓰기 능력을 보는 대학별고사는 본고사가 아니다’고 해석하면서 실제로 본고사를 확대하려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민남 경북대 교수도 “문제 유형에 대한 규제는 실효성이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 “결과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대한 지침이 동시에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내신의 실질반영비율이 10%라면 논술도 역시 그 이상 반영해서는 안 된다는 등 대학별고사의 최소반영 원칙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반면 대학 쪽은 반영비율 등 활용보다는 문제 유형에 대한 포괄 기준 마련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종섭 서울대 입학관리본부장은 “현재 본고사는 국·영·수 위주의 지필고사로만 규정돼 있어 문제 유형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면서 “포괄적 수준에서 정의를 내리고 그 아래서 대학에 자율권을 주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본고사의 정의와 관련해 “서울대가 하려는 통합교과형 논술의 출제 방향이 수용되는 가이드라인이 되어야 한다”면서 “논술을 몇% 이상 반영해서는 안 된다는 등 활용 지침은 불필요하다”고 밝혔다. 한재갑 한국교총 대변인도 “대입 전형에서 내신 비중이 실질적으로 늘어야겠지만, 논술이 당락을 좌우하더라도 문제삼을 수 없다”고 밝혔다.
문제 유형에 대해선 통합교과형이 대체로 바람직하지만, 이 경우에도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논술시험 시간수를 늘리거나 지문을 너무 복잡하게 나열하는 형태의 문항은 규제해야 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배호순 서울여대 교수는 “통합교과형 논술은 프랑스 바칼로레아같은 논술로 가기 위한 징검다리 역할”이라면서 “교과 단위 지식을 묻지 않는다면 본고사라고 말하기 힘들다”고 밝혔다. 박부권 동국대 교수는 “지금의 일반 논술도 폭넓은 사회 과학 법률 지식을 활용해 주장을 정리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통합교과형”이라면서 “통합교과형 출제를 하더라도 대학들이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논술을 과목별로 다양화해 수를 늘리거나, 지문을 복합적으로 여러 개 제시하는 형태라면 본고사로 규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융수 교육부 학사지원과장은 “대학총장이나 교육감, 입학처장, 시민단체 등 교육관련 단체나 기관의 의견을 두루 수렴해 가이드라인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