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날 고교생 140명 체험학습 보내
교육청 “일정 겹쳤는데 조정 못해”
‘시험 거부’ 징계했던 교육부 태도 주목
교육청 “일정 겹쳤는데 조정 못해”
‘시험 거부’ 징계했던 교육부 태도 주목
부산시교육청이 국가수준 일제고사를 치르는 날에 고등학생들에게 체험학습을 떠나게 했다. 이는 이명박 정부 때 일제고사를 치르지 않아도 된다고 안내한 교사들을 무더기로 징계한 것과 완전히 다른 태도이다.
부산의 고등학교 2학년생 140명은 5일 오전 9시30분 부산역에서 전세버스를 타고 경남 창원시 진해구 해군사관학교로 떠났다. 학생들은 해군사관학교와 해군부대를 둘러보고, 유디티 보트와 독도함을 탔다. 또 이승만 전 대통령 별장과 박물관·잠수함 등을 견학하고 오후 5시께 부산역으로 돌아왔다. 부산시교육청은 지난달 초 호국보훈의 달을 앞두고 리더십 훈련을 하고 조국의 소중함을 일깨우기 위해 일반고 101곳, 특성화고 43곳, 평생교육시설 7곳 등 151곳에 공문을 보내 지난달 28~31일 학교당 1~2명씩 희망자를 모집해 체험행사를 실시했다.
체험학습을 떠난 학생들은 이날 전국 시·도교육청이 주최하는 전국연합학력평가(일제고사)를 치지 않았다. 시교육청 스스로 일제고사를 거부한 셈이다. 전국연합학력평가는 전국 시·도교육청 협의를 통해 연초에 확정된다. 해마다 네 차례 시험을 치는데, 이날은 3월13일에 이어 올해 두번째 시험일이었다. 세번째 시험은 9월3일 예정돼 있다. 1~2학년은 국어·수학·영어와 사회 또는 과학 과목을 4교시에 걸쳐 치고, 3학년은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를 한다.
앞서 교육부(옛 교육과학기술부)는 2008년부터 전국 초·중·고교 학력 향상을 위해 진단평가와 학업성취도평가라는 이름으로 일제고사를 치고 있다. 일부 교사들이 ‘학생과 학교의 성적을 서열화하는 것’이라며 일제고사 날에 체험학습을 떠나도 된다고 안내하자, 교육부는 일제고사 거부를 선동했다며 14명을 해임 또는 파면하는 등 50여명을 징계했다. 해고된 교사들은 대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고 복직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전국연합학력평가와 체험학습이 겹쳐 일정을 조정하려고 했으나, 해군작전사령부 일정이 확정돼 바꿀 수가 없었다. 전국연합학력평가를 치기 원하는 학생들은 체험학습에 참여하지 않도록 했다”고 말했다.
한 교사는 “일제고사에 비판적인 교사들을 무더기 징계했던 교육부가 일제고사를 치지 않고 체험행사를 떠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은 산하 교육청에 이중 잣대를 적용하는 것이다. 앞으로 일제고사를 치지 않고 체험학습을 떠나도록 권유하는 교사들을 또다시 징계할 것인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채널A “북한군 오지 않았다는 근거 있느냐” 반발
■ 하나금융 부사장, 여직원 성희롱으로 사표
■ 이보다 더 나쁠 순 없다…최강희호 총체적 난국
■ 광주시민들, 전두환 찾아간다
■ [화보] 1950년대 서울 명동, 뻥튀기 아저씨, 까까머리 아이...
■ 채널A “북한군 오지 않았다는 근거 있느냐” 반발
■ 하나금융 부사장, 여직원 성희롱으로 사표
■ 이보다 더 나쁠 순 없다…최강희호 총체적 난국
■ 광주시민들, 전두환 찾아간다
■ [화보] 1950년대 서울 명동, 뻥튀기 아저씨, 까까머리 아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