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개 시·도에서 치러져
전교조 “평가지표 삼아선 안돼”
전교조 “평가지표 삼아선 안돼”
진보 교육감들의 공개적 우려 표명에도 201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일제고사)가 치러졌다.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은 24일 중3과 고2 학생을 대상으로 일제고사를 실시했다. 중학생은 3학년 1학기까지, 고등학생은 1학년 전 과정 국어·영어·수학 세 과목을 시험봤다. 평가 결과는 9월 교과별로 학생들한테 개별 통지된다.
진보 교육감들은 6·4 교육감 선거에서 ‘일제고사 폐지’를 공통 공약으로 내놨다. 학생들의 시험 부담이 늘고 ‘학교 서열화’로 교육청과 학교 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등 부작용이 심하다는 이유에서다. 선거 이후에도 논란이 이어졌다. 김병우 충북교육감 당선자는 최근 일제고사 폐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충북 교육감직인수위원회는 “학업성취도 평가를 전수조사에서 표집 방식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시·도 교육감 협의회를 통해 중앙부처에 요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도 24일 성명을 내어 “시·도교육청 학교 평가와 학교성과급 평가 지표에서 비교육적인 성적 경쟁을 유발하는 일제고사 관련 지표를 즉각 삭제하라”고 촉구했다. 교육부는 이명박 정부 때인 2008년부터 전국 초·중·고에서 일제고사를 도입했다.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학업 보충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학생 개개인과 학교의 성취 수준을 파악해 교육과정 개선과 행정적·재정적 지원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그러다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에 따라 지난해부터 초등학교 일제고사를 폐지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