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교육여건 ‘최하위’ 탈출 서명운동”
전교조, 교총, 한교조 등 교육 3단체와 경기도 교육청이 공동으로 경기도 교육여건 개선을 위한 100만명 서명운동에 나선다. 전교조가 주축이 돼 벌이는 교육여건 개선운동에 교육청이 힘을 합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경기도 교육청은 14일 도내 초·중·고교에 ‘경기도 교육여건 개선을 위한 범도민 서명운동에 적극협조’ 공문을 보내, ‘경기교육 여건 개선을 위한 도민운동본부’ 100만명 범서명운동에 적극 협조하도록 지시했다. 일선 학교를 거쳐 각 가정에 보내질 경기교육여건 소식지와 서명용지에는 지역주민의 의지를 모아 교육환경 개선을 중앙 정부에 요구해야 한다는 내용과 함께 서명란이 실렸다.
박석균 전교조 경기지부장과 도성훈 인천지부장도 서울 광화문 정부중앙청사 앞에서 교원 충원, 예산 확보 등 교육여건 개선을 요구하며 8일째 농성 중이다. 13일부터는 단식에 들어갔다. 전교조는 또 다음주부터 경기도의 열악한 교육 현실을 주제로 한 공동수업을 경기도 중·고교에서 하기로 했다.
도 교육청과 전교조가 한 목소리로 교육여건 개선을 요구한 것은 각종 교육지표에서 경기도가 최하위를 기록하는 등 도내 교육여건이 악화한 데 따른 것이다.
현재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24.9명(전국 평균 18.9명), 초등학교의 학급당 학생 수는 38.26명(전국 평균 32.9명)에 이른다. 특히 1990년대 이후 해마다 최저 3만5천~5만명의 학생 수가 늘어, 경기도교육청은 전일제 강사 2090명을 채용하고, 교수·학습비 예산 433억원을 전용해 인건비로 썼다. 지방세수 감소로 교사 인건비 마련이 어려워 지방채 6300억원을 발행하기도 했다.
도민운동본부 쪽은 “당장 필요한 교사 수가 7335명(초등 2335명, 중등 4992명)”이라며 “내년 전국에 배정하기로 한 교사 4351명을 경기도에 배정해도 교사가 모자란다”고 주장했다. 허미경, 수원/홍용덕 기자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