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원구 중계동의 학원가에 붙어 있는 선행학습 광고판 앞을 초등학생이 지나가고 있다. 광고판엔 ‘7세부터 9세까지 수학 교과 선행, 사고력을 한번에!’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박수지 기자
황우여 교육부 장관 “박근혜 정부 영어교육 정상화 일환”
2017년부터냐 2018년부터냐, 전문가와 논의해 발표 예정
영어 잡으려다 수학 더 과열시키는 ‘풍선 효과’ 우려 나와
2017년부터냐 2018년부터냐, 전문가와 논의해 발표 예정
영어 잡으려다 수학 더 과열시키는 ‘풍선 효과’ 우려 나와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이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바뀔 전망이다.
황우여 교육부 장관은 27일 정부세종청사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큰 방향에서 수능 영어 절대평가 문제가 논의되고 있고, 2017년부터 하느냐 2018년부터 하느냐는 전문가와 논의해서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과도한 영어 사교육을 방지해 가계 부담을 완화하려는 방안의 하나로 영어 수능 절대평가 제도를 검토해왔다. 그동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한국교육개발원 등 국책연구기관들이 영어 절대평가 전환을 주제로 한 포럼을 여는 등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했으나, 교육부가 구체적인 추진 사실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남수 전 교육부 장관은 지난 3월 언론 인터뷰에서 “수능에서 영어를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것은 중장기적으로 충분히 검토할 만한 과제”라는 정도로 언급한 바 있다.
황 장관은 “박근혜 정부의 근본적인 문제제기의 하나가 영어교육의 정상화”라며 강한 정책 추진 의지를 내비쳤다. 황 장관은 “변별력 위주의 영어 수능을 유지하면 4%(1등급)에 들어가려 과도한 투자를 한다. 우리가 영어 학자나 전문가로서의 영어를 요구하는 게 아니다. 사교육 시장에서 수십년에 걸친 과도한 영어투자가 과연 무엇을 위한 것이냐는 근본적 문제제기가 이뤄지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우리 국민이 이 정도는 해야 해외에서 숨통이 트이고, (이 정도 영어는) 세계화 과정에서 필요하다는 것을 정한 다음에, 영어 교육은 그렇게 하면 된다는 것(기준)을 만들고 싶다. 이 정도면 영어 교육은 됐다, 그러면 그 다음 전문화 과정은 직업 전선이나 학문 전선에서 심화 전문화 과정을 거치면 된다. 그 안에서 절대평가 문제가 큰 방향에서 논의되고 있다”고 전했다.
교육부는 영어 절대평가 도입 시기와 관련해 “아직 검토가 끝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황 장관의 발언을 고려해 볼 때, ‘대입전형 3년 전 예고제’를 고려해 2017~2018년께 절대평가를 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황 장관은 “3년 전 예고도 중요하지만 어느 때 가서 덜커덕 시행하면 몇년을 더 줘도 학생들의 충격이 클 수 있다. 충격을 완화하는 방법은 없을까, 중간단계를 어떻게 만드느냐가 고민이다. 실무자들이 어떻게 하면 학생들한테 충격을 안 주면서 연착륙할까를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올해 수능 영어영역 1등급이 5.4%였던 것처럼 쉬운 영어 수능이 시행되고 있다. 입시제도에서 과도기는 어려우니, (장관이) 쉬운 수능 같은 것을 의미하신 게 아니겠느냐”고 설명했다.
수능 영어 절대평가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일부에서는 수학 등 다른 과목의 변별력이 중요해지는 ‘풍선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영어 사교육을 잡으려다 수학 등 다른 과목 사교육만 부풀리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그런 우려가 있어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아직 내부적으로 정리가 되지 않아 발표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