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래(오른쪽 셋째) 청주대 교수회 부회장이 1일 충북교육청에서 김윤배 청주대 총장의 사퇴를 촉구하고, 재단 이사진 재편 등을 담은 청주대 정상화 방안 등을 밝히고 있다.
‘청주대 범대위’ 중재안 내
“8일까지 답 안주면 수업거부”
대학쪽 “김 총장 사퇴뜻 없어”
“8일까지 답 안주면 수업거부”
대학쪽 “김 총장 사퇴뜻 없어”
김윤배 총장 퇴진을 요구하고 있는 ‘청주대학교 정상화를 위한 범비상대책위원회’가 김 총장이 사퇴하면 이사직을 보장하는 내용을 담은 중재안을 냈다. 학교 안팎에선 이 제안이 김 총장 사퇴를 위한 일종의 ‘퇴로’로 여겨지고 있다. 비대위는 8일까지 답을 주지 않으면 수업 거부, 국회 국정감사 촉구 등으로 투쟁 수위를 높이겠다고 밝혔지만, 김 총장 쪽은 여전히 사퇴 뜻이 없다는 태도를 보였다.
청주대 총학생회, 교수회, 직원 노동조합, 총동문회 등으로 이뤄진 청주대 정상화 비대위는 1일 충북도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김 총장은 무조건, 즉각 총장직에서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김 총장 사퇴와 함께 재단 이사진(9명) 재편과 총장 선출 방식 개선도 요구했다. 우선 개방형 이사 3명(이사 총원 3분의 1)은 지역사회와 학내 구성원 합의로 선임해야 한다고 밝혔다. 개방형 이사와 당연직 이사인 총장을 뺀 나머지 이사 5명의 선임권을 설립자 후손이 직접 행사하되, 애초 설립 정관에 밝힌 대로 청암(고 김원근)·석정(고 김영근)계 두 후손들이 고루 학원 운영에 참여할 것도 제안했다. 김 총장은 청암계 후손이다.
경청호 청주대 총동문회장은 “김 총장이 사퇴하면 이사직을 그대로 유지하고 이사장을 맡아도 거부하지 않겠다. 다만 그동안 김 총장과 그의 아버지인 고 김준철 전 총장 등 청암계 후손들이 독점했던 학교 경영은 설립 정신에 맞게 석정계도 참여하게 해야 한다. 정부 재정지원제한대학 선정 등 청주대의 부실은 김 총장 등의 독주 체제가 초래했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이사는 김원근·김영근계 자손으로서 각각 그 집의 호주인 자 2인’이라고 명시된 청석학원(옛 대성학원) 설립 당시 정관(3장11조) 문서도 제시했다.
비대위는 이사회가 결정하는 현행 총장 선출 방안을 학내 구성원을 중심으로 구성된 총장후보선출위원회가 선출한 총장 후보를 이사회가 승인하는 형태로 바꿀 것도 제안했다.
유지상 청주대 총학생회장은 “김 총장에게 최대한 양보한 최후의 제안이다. 오는 8일 오후 5시까지 수용 여부를 밝혀달라. 김 총장이 거부하면 수업 거부 등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통해 김 총장 퇴진에 나설 생각”이라고 밝혔다. 조승래 청주대 교수회 부회장은 “청주대와 청석학원은 김 총장의 사유물이 아니다. 김 총장이 이 제안을 거부하면 국회에 청주대 국정감사를 요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상철 청주대 홍보팀장은 “김 총장은 대학구조개혁평가 지표 개선 등 학교 정상화가 우선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새 총장 선출에 따른 잡음 등도 경계해야 한다. 비대위의 제안을 검토하겠지만 김 총장은 사퇴 뜻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글·사진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