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시험이 치러지고 있는 서울 시내의 한 고등학교 정문 앞에서 학부모들이 간절한 마음으로 시험이 끝나길 기다리고 있다. 한겨레 자료 사진
작년 세계지리 8번 ‘복수정답’ 처리
지난해 치러진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오류로 확정된 세계지리 8번 문항을 모두 정답으로 처리한 결과, 당시 오답 처리됐던 수험생 1만8884명 가운데 9073명의 등급이 한 단계씩 올랐다. 표준점수는 1만2명이 3점, 8882명이 2점씩 높아졌다. 백분위는 21명을 제외한 1만8863명이 1~12점 올랐다. 각 대학들은 새로 산출된 세계지리 성적으로 피해 수험생들에 대한 2014학년도 대학입학 전형을 다시 실시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일 지난해 수능 세계지리 오류 관련 피해학생 구제방안을 확정해 발표했다. 평가원은 기존에 오답 처리된 수험생의 원점수를 3점씩 상향 조정했다. 이어 지난해 정답 처리된 수험생의 원점수에 부과됐던 등급·표준점수·백분위를 동일하게 부여하는 방식으로 성적을 재산정했다.
평가원은 지난달 31일 세계지리 8번 문항을 모두 정답처리한 뒤, 세계지리에 응시한 전체 수험생의 점수를 다시 산정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전체 평균이 올라가게 돼 오답 처리된 수험생들의 등급·표준점수·백분위 상승 효과가 별로 없다는 지적이 많자 점수 재산정 방식을 바꿨다. 기존에 정답 처리된 수험생은 성적 재산정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고, 기존 성적이 그대로 인정돼 피해가 없다.
지난해 등급·표준점수·백분위 적용
피해학생 불합격대학 전형 재실시
추가 합격여부는 다음달 17일 공개 지난해 수시모집에서 다른 기준을 모두 충족했으나, 세계지리 8번 오답 처리 탓에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탈락한 학생들은 ‘변경된 세계지리 성적’으로 추가 합격이 가능하다. 정시모집은 각 대학들이 변경된 세계지리 성적으로 전형을 다시 실시하고, 지난해 정시 최종 등록(미등록 충원)의 합격선을 넘으면 추가로 합격된다. 교육부와 평가원은 수능 성적이 재산정된 1만8884명 가운데 실제 대학에 추가 합격하게 될 학생이 몇명일지는 대학별로 전형을 다시 진행해봐야 알 수 있다고 밝혔다. 학생들이 따로 불합격 대학에 전형 재실시를 신청하지 않아도 되고, 각 대학이 대상 학생 전체의 전형을 일괄적으로 진행한다. 추가 합격 여부는 다음달 17일부터 확인 가능하다. 추가 합격한 학생은 내년 3월에 정원 외로 해당 대학의 신입생 또는 편입생으로 입학할 수 있다. 편입학을 선택한 학생은 이전 학교 이수학점을 동일 학과, 계열 여부 등을 고려해 허용 범위 내에서 인정받을 수 있다. 다만 세계지리 8번 문항 탓에 희망 대학보다 ‘하향 지원’한 수험생들은 피해를 구제받을 수 없다. 교육부는 “하향 지원 학생들한테 다시 대학에 지원할 기회를 주면, 이 학생들은 작년도 합격선을 알고 지원하기 때문에 다른 학생들과 공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와 평가원은 수능 출제 오류에 책임이 있는 당시 수능 본부장을 중징계하고 출제 부위원장을 경징계하기로 했다. 또 지난해 대입 정책을 총괄한 교육부 전임 대학지원실장을 대기 발령낼 예정이다. 하지만 이 사태의 최고 책임자인 성태제 당시 평가원장(이화여대 교수)은 임기를 끝내고 대학에 복귀해 책임을 물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피해학생 불합격대학 전형 재실시
추가 합격여부는 다음달 17일 공개 지난해 수시모집에서 다른 기준을 모두 충족했으나, 세계지리 8번 오답 처리 탓에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탈락한 학생들은 ‘변경된 세계지리 성적’으로 추가 합격이 가능하다. 정시모집은 각 대학들이 변경된 세계지리 성적으로 전형을 다시 실시하고, 지난해 정시 최종 등록(미등록 충원)의 합격선을 넘으면 추가로 합격된다. 교육부와 평가원은 수능 성적이 재산정된 1만8884명 가운데 실제 대학에 추가 합격하게 될 학생이 몇명일지는 대학별로 전형을 다시 진행해봐야 알 수 있다고 밝혔다. 학생들이 따로 불합격 대학에 전형 재실시를 신청하지 않아도 되고, 각 대학이 대상 학생 전체의 전형을 일괄적으로 진행한다. 추가 합격 여부는 다음달 17일부터 확인 가능하다. 추가 합격한 학생은 내년 3월에 정원 외로 해당 대학의 신입생 또는 편입생으로 입학할 수 있다. 편입학을 선택한 학생은 이전 학교 이수학점을 동일 학과, 계열 여부 등을 고려해 허용 범위 내에서 인정받을 수 있다. 다만 세계지리 8번 문항 탓에 희망 대학보다 ‘하향 지원’한 수험생들은 피해를 구제받을 수 없다. 교육부는 “하향 지원 학생들한테 다시 대학에 지원할 기회를 주면, 이 학생들은 작년도 합격선을 알고 지원하기 때문에 다른 학생들과 공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와 평가원은 수능 출제 오류에 책임이 있는 당시 수능 본부장을 중징계하고 출제 부위원장을 경징계하기로 했다. 또 지난해 대입 정책을 총괄한 교육부 전임 대학지원실장을 대기 발령낼 예정이다. 하지만 이 사태의 최고 책임자인 성태제 당시 평가원장(이화여대 교수)은 임기를 끝내고 대학에 복귀해 책임을 물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