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학년도부터 50%서 40%로
“세계적 추세에 역행” 비판 일어
“세계적 추세에 역행” 비판 일어
2018학년도부터 도입되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 근현대사 비중이 줄어들 전망이다. 세계적인 추세나 교육 현장의 요구와 동떨어진 방향이라 반발이 예상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역사 교육과정 연구팀은 12일 오후 서울 연세대에서 토론회를 열어 ‘2015 역사과 교육과정 시안’을 공개했다. 중학교 역사, 고등학교 한국사·동아시아사·세계사 등 4개 과목 시안으로, 이를 토대로 토론회와 전문가 협의회 등을 거쳐 오는 11월 2차 시안이 정리될 예정이다.
1차 시안 고교 한국사 부분에서는 근현대사의 비중을 기존 50%에서 40%로 조정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발표를 맡은 이재범 경기대 교수는 “고교 한국사는 전근대사와 근현대사의 양적 비율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반영했고, 연구진이 적정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하지만 토론자로 나선 구난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역사를 가르치고 배우는 목적이 과거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만드는 데 있다는 점에 동의한다면, 근현대사 교육의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며 근현대사 강화가 세계적인 추세라고 강조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활동 등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을 대폭 줄인 것도 논란거리다. 2009년 교육과정에서는 “(해방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 3·1 정신과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계승했음을 이해한다”는 목표를 설정했지만 2015년 시안 주제에서는 빠져 있다. 역사정의실천연대는 “임시정부를 포함한 독립운동의 역사를 대한민국과 무관한 역사라고 강변하는 뉴라이트식의 근대사 인식이 반영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