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오후 3시께 부산 금정구 장전동 부산대 본관 3층에 있는 테라스 형태의 국기게양대 근처에서 이 대학 국문과 고현철(54) 교수가 1층 현관으로 뛰어내려 숨졌다. 교수들이 투신사망 지점 앞에서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부산/연합뉴스
교수회 “교육부 압박에 참극” 반발
국립대인 부산대의 한 교수가 총장 직선제를 요구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교육부는 그동안 대학 총장을 교수 등의 직접투표로 뽑으면 행·재정상 불이익을 주겠다고 대학들을 압박해온 터여서, 전국 국공립 대학들의 반발 등 파장이 적잖을 전망이다.
17일 오후 3시께 부산 금정구 장전동 부산대 본관 3층 국기게양대 근처에서 이 대학 국문과 고현철(54) 교수가 “총장은 직선제 약속을 이행하라”고 외친 뒤 뛰어내렸다. 고 교수는 부산 ㅊ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곧 숨졌다. 고 교수는 투신 직전 부산대 총장의 직선제 포기 방침을 비판하는 내용 등을 담은 유서를 국기게양대 근처에 남겼다.
고 교수는 이 글에서 “부산대 총장이 처음의 약속을 여러 번 번복하더니, 최종적으로 총장 직선제를 포기하고 교육부 방침대로 총장 간선제 수순 밟기에 들어갔다. 참담한 심정일 뿐이다”라고 적었다.
이어 “문제는 현 상황에서 교육부의 방침대로 일종의 간선제로 총장 후보를 선출해 올려도 시국선언 전력 등을 문제삼아 여러 국공립대에서 올린 총장 후보를 총장으로 임용하지 않아 대학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일이 다반사란 점이다. 이제 방법은 충격요법밖에 없다. 지난날 민주화 투쟁의 방식이 충격요법으로 더 효과적일지 모른다. 그 희생이 필요하다면 감당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 글에는 “대학의 민주화는 진정한 민주주의 수호의 최후의 보루이다. 희생이 필요하다면 그걸 감당할 사람이 해야 한다”는 내용도 적혀 있다.
고 교수는 올해 김기섭 부산대 총장이 여러 차례 약속한 총장 직선제 유지를 번복해, 부산대 교수회와 갈등을 빚자 “민주주의를 위해서는 누군가의 희생이 필요하다”고 주변에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대 교수회 관계자는 “총장 직선제는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결실이다. 교육부가 직선제의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폐지를 강요한 것이 이런 참극을 불렀다”고 말했다. 부산/김광수 김영동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