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오전 부산대 10·16기념관에서 열린 고현철 교수의 영결식에서 유족들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고 교수는 지난 17일 총장 직선제를 요구하며 부산대 대학본부에서 뛰어내려 숨졌다. 부산/연합뉴스
국립대 총장 간접선거를 강요하는 교육부에 힘겹게 맞서고 있는 부산대를 돕기 위한 시민과 동문들의 성금이 이어지고 있다. 교육부가 전국 38개 4년제 국립 대학 가운데 유일하게 직접투표로 총장을 선출한 부산대에 지원하기로 한 예산을 삭감하자 시민들이 부산대에 힘을 보태고 있다.
재단법인 부산대학교 발전기금은 13일 “부산대 졸업생 10명이 ‘총장 직선제를 지켜달라’며 1인당 12만원씩 모두 120만원을 후원계좌로 보내왔다”고 밝혔다.
돈을 보낸 사람은 부산대 사회과학대학 91학번 동기들이다. 이들은 지난 12일 <한겨레> 등을 통해 부산대 교수들이 ‘교육부가 삭감한 국비 때문에 제자들이 피해를 입어서는 안된다’며 1인당 120여만원씩을 내기로 결정했다는 보도를 보고, 사회관계망서비스인 밴드에서 회의를 열어 1인당 12만원씩을 부산대에 보내자고 결정했다고 한다.
성금을 대표로 기부한 서종우(44)씨는 <한겨레>와 전화통화에서 “총장 직선제를 무산시키려는 교육부의 압박은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것이다. 부산대가 교육부의 재정압박에 무너지면 총장 직선제를 회복하려고 노력하는 다른 국립대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꼭 버텨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11일엔 50대 남성이 부산대 발전기금에 20만원을 보내왔다. 부산대 발전기금 관계자는 “교육부의 압력에 굴하지 말고 총장 직선제를 잘 지켜달라는 뜻으로 돈을 보내왔다. 이분은 부산이 아닌 지역에 살고 부산대 출신도 아닌데도 발전기금을 내 조금 놀라웠다”고 귀띔했다.
교육부는 지난해 12월 부산대에 그해 지급해야 할 국책사업비 18억7300만원을 삭감했다. 부산대는 지난 11일 재정위원회를 열어 ‘교육부가 삭감한 18억7300만원 가운데 5억2600만원(28%)은 다른 사업을 축소해서 절감한 예산 등으로 충당하고 나머지 부족액 13억4700만원은 전체 교수들이 1월치 급여에서 120여만원씩을 반납해 마련한다’고 결정했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