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빼는 등 124곳 편향성 이어
MB교과서 베낀 부분 여러곳 확인
MB교과서 베낀 부분 여러곳 확인
박근혜 정부의 첫 역사 국정 교과서인 <초등 6-1 사회(역사)>에서 이명박 정부 시절 만든 교과서를 그대로 베껴온 부분이 여러곳 확인됐다. 이 교과서는 공개된 직후 일본군 ‘위안부’, 전두환 ‘군사독재’ 등의 표현이 빠지는 등 역사학계로부터 오류·편향성 124곳을 지적받은 바 있는데 여기에 더해 ‘표절 논란’까지 일 것으로 보인다.
<한겨레>가 1일 지난 3월부터 초등 6학년이 사용하고 있는 <초등 6-1사회>(2009 교육과정)와 지난해까지 사용됐던 <초등 5-2 사회>(2007 교육과정) 교과서를 비교·분석한 결과, 한 쪽 전체가 똑같거나 단락과 문장이 거의 흡사한 부분이 최소 7군데 확인됐다. 2007 교육과정에서 5학년 2학기 때 배웠던 사회(역사) 과목은 2009 교육과정 개정으로 인해 6학년 1학기로 올라왔으며, 2014년 실험본을 거쳐 올해 완성된 최종본을 6학년 교실에서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조선후기 최제우의 동학 사상을 소개하고 있는 2009 교육과정 교과서 45쪽은 2007 교육과정 교과서 36쪽에서 몇 문장을 들어내고 사진·편집을 바꿨을 뿐 토씨 하나 안바꾸고 5개 단락을 그대로 가져다 썼다. 농업의 발달을 기술한 11쪽의 “모내기법은 모판에 씨를 뿌려 싹이 자란 모를 논에 옮겨 심는 방법이다. 잘 자란 모를 골라서 심기 때문에 수확량이 늘어났고, 잡초를 뽑기가 쉬워져 일손을 줄일 수 있었다”는 설명도 이전 교육과정 교과서의 17쪽 두 번째 단락과 100% 일치한다.
이 두 교과서는 교육과정이 다를뿐 아니라, 집필진이 모두 교체됐다. 여러차례 검정 교과서 집필에 참여했던 한 역사 교사는 “두 교과서 집필진 중 겹치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다. 저작권을 교육부가 갖는다고 하더라도 교과서 집필은 집필진들이 하는 것이기 때문에 완전히 새로 쓰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번 교과서 작업에 참여한 한 교사도 “교육과정과 집필진이 바뀌었으니 이전 교과서를 그대로 베낀 것은 표절이 맞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새 교과서 대표 집필진인 한춘희 부산교대 교수는 “이전 교과서든 새 교과서든 교육부가 저작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표절이라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