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3당 국회 여가위, 외통위 위원들 규탄성명
25일 시민사회단체 15곳 정부청사 앞 시위
정부, 피해자 시설장에게 참여 제안했다 거절
25일 시민사회단체 15곳 정부청사 앞 시위
정부, 피해자 시설장에게 참여 제안했다 거절
지난해 12월28일 한·일 정부 합의에 따라, 일본 출연금 10억엔으로 운영될 예정인 ‘화해·치유재단’이 28일 출범을 앞둔 가운데, 야당과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남인순, 문미옥, 박경미, 박주민 의원 등 국회 외교통상위원회 및 여성가족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 19명은 25일 오후 ‘위안부’재단의 출범에 대한 규탄 성명을 발표하며 “정부는 재단 출범을 중단하고 피해자 문제 전면 재협상하라”고 요구했다. 의원들은 성명서에서 “지난해 말 한일합의 이후 재단 설립준비위원회가 20일 여가부에 재단설립 신청서를 내고 28일 화해·치유재단을 발족할 예정이라지만, 어떻게 화해와 치유가 가능하단 말이냐”며 “무늬만 민간법인일뿐 외교부와 여가부가 준비한 정부의 재단”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우리 정부가 피해자분들의 고통에 찬 일생과 인권을 조금이라도 생각한다면, 피해자들이 요구하는 일본정부의 공식 사죄와 법적 책임이행, 역사 왜곡 중단을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요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정신대문제협의회(정대협)도 같은날 오전 서울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일제 때 억울하게 끌려가 처참히 생활을 한 것을 알리는 이유는 돈을 바라서가 아니라 우리의 명예를 회복하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라며 “박근혜 정부는 우리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12·28 한일합의를 했고, 또 이렇게 재단을 설립하겠다고 한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이런 게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날 피해자 할머니 4명과 한국여성단체연합 등 15여개의 시민사회단체가 기자회견에 참여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달 ‘위안부’ 피해자 쉼터인 경기 광주 ‘나눔의 집' 소장에게 ‘화해·치유재단'의 준비과정에 참여해줄 것을 제안했지만 거절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신권 나눔의집 소장은 26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공식제안은 아니었고 지난달 재단설립준비위원장이 의사를 물어와, 할머니들은 물론 국민 다수가 반대하는 상황에서 참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