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학교 운동장 우레탄 트랙에 대한 교육부의 유해성 전수조사 결과, 우레탄 트랙 64%에서 중금속이 기준치 이상 초과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물질 기준이 생긴 이후에 설치한 우레탄 트랙 185곳에서도 기준치를 초과한 유해물질이 검출되는 등 우레탄 트랙에 대한 안전성을 놓고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27일 교육부가 발표한 전수조사 결과를 보면, 우레탄 트랙을 설치한 초·중·고·특수학교 2763곳 가운데 1767곳(63.9%)에서 납 등의 중금속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 이들 가운데 479곳(27.1%)은 기준치를 20배 이상 초과해 검출됐으며, 100배 이상 기준치를 초과한 학교도 15곳이다. 학교 운동장 우레탄 트랙의 품질 기준을 정한 케이에스 기준(KS기준·한국산업규격)은 납, 카드뮴, 수은, 6가 크롬 등 중금속 4종을 유해성 검사 대상으로 정하고 있다.
특히 KS기준을 적용한 2012년 12월 이후 설치한 우레탄 트랙 184곳(10.7%)에서도 기준치를 초과한 유해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이에 대해 “우레탄 원재료에는 문제가 없으나, 우레탄을 빨리 굳히는 데 쓰는 경화제에 납 성분이 들어갔던 것으로 보인다”며 “시공업체 책임을 물어 해당 우레탄 트랙은 시공업체가 비용을 부담해 재시공토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KS기준 적용을 유예했던 기간(2011년 4월~2012년 11월) 동안 설치된 우레탄 트랙 337곳(19.5%)의 경우는 시공업체 책임을 물을 수 없어 교체 비용을 고스란히 교육당국이 부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유해 우레탄 교체에 소요되는 예산은 1475억원으로 추산하고 있지만, 농구장과 같은 기타 우레탄 소재 학생 활동 공간까지 모두 교체할 경우 2000억원에 달하는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예산 확보와 관련해 교육부는 “대규모 예산 확보를 위해 최대한 노력하고 있으나, 추경 예산안이 확정되는 8월까지 기다릴 경우 학교 공사 시기의 적기인 여름방학을 놓치게 되고 학생들이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기간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가시책특별교부금 170억원과 시·도 교육청 예산 170억원 등 모두 340억원의 예산으로 운동장 전체가 우레탄으로 깔려 있거나 유해물질이 과다 검출된 학교부터 시급하게 교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2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추경예산안에는 우레탄 트랙 관련한 예산 항목이 별도로 잡히지 않았다.
유해 우레탄 트랙이 깔린 학교의 절반 가량은 초등학교였다. 초등학교는 전체 1767곳 가운데 862곳(48.8%)이었다. 그밖에 중학교 418곳(23.7%), 고등학교 451곳(25.5%), 특수학교 36곳(2.0%) 등이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