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75곳 중 55곳은 유치원 정보도 원해
박경미 의원 “추첨제하며 굳이…시대착오적”
박경미 의원 “추첨제하며 굳이…시대착오적”
사립초등학교들이 입학원서를 받으면서 부모의 직업과 학력, 종교 등의 정보까지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입학지원생이 다닌 영어유치원을 묻는 것도 있었다.
23일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전국 사립초등학교 75곳의 2016학년도 입학지원서를 받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이 가운데 25곳(33%)에서 입학지원서에 부모의 직업을 쓰도록 요구했다. 서울에서는 39개 사립초등학교 가운데 10개 학교가, 인천에서는 5개 학교 가운데 3개 학교가 부모님의 직업정보를 써내도록 했다. 특히 인천의 한 사립초등학교에서는 부모의 학력 정보까지 요구했다. 경북지역에서는 3개 사립초등학교 모두 부모의 직업을 기재하도록 했다.
출신 유치원 정보를 요구하는 학교도 전체 75곳 가운데 55곳(73%)에 달했다. 지원자의 영어유치원·어학원 경력을 묻는 곳도 23곳에 달했다. 부산의 한 사립초등학교에서는 외국거주경력을 묻기도 했다.
박경미 의원은 “사립초등학교의 학생선발권은 학교장에게 있으며 대부분 선지원·후추첨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추첨제로 신입생을 선발하면서 굳이 부모의 직업과 종교, 학력, 아이의 출신 유치원까지 적어내라는 것은 ‘금수저 아이들’을 식별하겠다는 시대착오적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또 “영어 등 외국어 교육은 정규 유아 교육과정에 없는데도 공교육기관인 초등학교가 외국어 교육을 받은 내역을 입학원서에 적으라고 하는 것은 학부모들에게 아이들을 영어유치원에 보내라는 신호”라며 “사립초등학교 입학원서에 대해서는 교육청과 교육부가 ‘학교장의 권한’이라며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교육부는 지난 6월부터 초·중·고등학교에서 쓰는 학습환경조사서(옛 가정환경조사서)와 초등돌봄 교실 지원 원서 등 학교에서 사용하는 서식에 학부모의 신상 정보를 적는 난을 없애도록 권고하고 있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자료 :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자료 :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