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의 국정 역사교과서가 기존 검정 교과서보다 일제강점기 서술은 줄이고 박정희 정부와 고대사 서술은 대폭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교과서들 가운데 일제강점기 비중은 가장 작았고 박정희 정부 비중은 가장 많았다.
2일 <한겨레>가 고교 <한국사>의 국정교과서와 기존 8종의 검정교과서(2013년 8월 교육부 검정통과)를 비교·분석해보니, 전체 교과서(연표·색인 제외)에서 일제강점기(1910년 국권 피탈~1945년 광복 앞) 서술이 차지하는 비율은 국정교과서가 15%로 9개 교과서 가운데 가장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비상교육이 19.3%로 가장 높았고, 미래엔이 18.7%로 뒤를 이었다. 특히 이 가운데 친일독재 미화 논란과 사실관계 오류 등으로 2014년 채택률 0%대를 기록하며 사실상 퇴출당한 교학사 교과서도 일제강점기를 담은 비중이 18.4%로 국정교과서보다 3.4%포인트 높았다.
반면, 박정희 정권(1961년 5·16쿠데타~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앞) 서술 비중은 국정교과서가 3.07%로 가장 높았다. 장면 정부의 경제 개발 계획과 5·16 쿠데타 주도 세력이 내세운 경제 개발 계획을 견줘, 사실상 박정희 정권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부분(260페이지)까지 합치면 3.41%였다. 금성출판사는 0.69%에 그쳤고, 리베르스쿨도 0.77%, 미래엔도 1.09%에 불과했다. 교학사도 1.89%로 국정교과서의 절반 수준이었다. 특히 광복 이후 현대사 중 박정희 정권 서술이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해보면 국정교과서가 18%로 평균 8.45%를 기록한 검정교과서들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국정교과서는 고대국가(고조선~고려 앞) 서술이 차지하는 비중도 가장 컸다. 17.74%로 교학사(8.67%)의 두배에 달했고, 비상교육(10.39%)과 두산동아(11.48%) 등 검정교과서보다 6~7%포인트 높았다.
수도권 지역과 강원 교육감들은 이날 국정 역사교과서 즉각 철회를 재차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또 국정교과서 철회 내지는 유예를 전제로 한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과의 대화를 제안했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