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보편적 실시…내신절대평가도 동반 추진해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2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 고교학점제를 단계적으로 전국에 확대 시행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조 교육감은 이날 서울 도봉구 도봉고등학교에서 진행된 국정기획위 현장 간담회에서 “고교학점제를 2019년부터 보편적으로 실시하는 방향으로 과목을 확대하는 것이 어떨까 한다”고 말했다. 고교학점제는 문 대통령의 공약이다. 대학처럼 교사가 수업을 개설하고 고교생이 이를 선택하는 제도다. 도봉고는 서울시에서 유일하게 학생들이 공부할 과목을 선택하는 개방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조 교육감은 간담회에서 “(고교학점제가) 서울·경기·세종에서 이미 시범 실시된 만큼 바로 보편적 시행에 들어갈 수 있다”며 “다만 학생들의 내신과 관련해 입시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가능할 것 같다”고 제안했다. 수업을 듣는 학생이 소수인 과목은 내신에 불리하다며 학생들이 듣지 않을 수 있으니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 등 필수과목을 위주로 학점제를 확대해 나가자는 것이다. 다만 조 교육감은 고교학점제 도입과 함께 “내신 절대평가(성취평가제)와 결합돼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여러 가지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니 아이들의 성장을 주로 드러내는 성장평가와 내신 절대평가를 병합해서 고교학점제를 실시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성취평가제란 고교 내신을 석차가 아닌 성취 수준에 따라 A~E 등급으로 나눠 표시하는 평가 방식이다. 석차(9등급)를 함께 기록하는 한에서 2014년부터 고교 내신평가에 일부 도입된 상태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