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단체 환영 “정부차원 프로세스 뒤따라야”
자사고들 “극소수 고교 자율성도 용인 못하나”
자사고들 “극소수 고교 자율성도 용인 못하나”
외고·자사고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겠다는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의 13일 발표에 교육계 반응은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다. 조남규 전교조 서울지부 정책교섭국장은 “그동안 대학에서 외고·자사고의 학생부는 높게 평가하고 일반고의 학생부를 낮게 평가하는 상황에서 형성평과 공정성이 확보되지 않았다”며 “평등교육을 지향해온 전교조는 외고·자사고의 일반고 전환 정책을 지지하고 환영한다”고 밝혔다. 다만 조 국장은 “이 교육감이 2019년 외고·자사고를 재지정 않겠다고 한 것 말고는 폐지에 구체적 계획이 없다”며 “정부 차원에서 프로세스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인수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대표는 이 교육감의 발표와 관련해 “법률을 고쳐서 할 수 있는 방안과 법률 개정 없이 할 수 있는 방안을 나눠서 해야 한다”며 “아예 외고·자사고라는 학교 유형을 없애려면 결국 법을 바꿔서 특목고 지위에서 외고를 제외시키고, 자사고도 관련 법을 정비해서 완전히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3 남학생을 기르고 있는 정아무개(44)씨는 “외고와 자사고는 교육비가 너무 많이 든다. 7월 중에 중3 애들이 볼 수능과 내신 제도에 관한 계획이 나온다고 하니 지켜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오세목(중동고 교장) 서울자사고교장협의회장은 “진정한 교육자치는 학교 자율성이다. 획일화된 교육이 문제라는 의식에서 자율형사립고를 만들었는데 우리나라 고등학교에서 2%도 안 되는 자사고의 자율성도 용인이 안 된다니 아이러니”라고 말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