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 신입생‥매년 10%씩 늘리기로
학습부진 학생에 담임책임지도 활성화 서울시 교육청은 31일 ‘서울학생 학력신장 방안’을 통해, 초등학교에 대한 사실상의 일제고사 부활과 단계별 평가방식 도입 이외에도 초·중·고교 학생들의 학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2개 영역 7개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시교육청은 우선, 2005년도부터 매년 3월 초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어·영어·수학 진단평가를 실시하기로 했다. 진단평가는 쉬운 문제를 중심으로 출제돼 최소한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평가 결과는 학교별로 산출·관리하며 학습부진 학생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되, 성적 공개나 학교별 비교는 금지된다. 시교육청은 또 서술형·논술형 평가를 확대하기로 했다. 시교육청은 중학교 1학년과 고교 1학년부터 국어·영어·수학·과학·사회 과목의 경우 올해 30%를 시작으로 10%씩 반영 비율을 확대할 방침이며, 2007년에는 시험문제의 절반이 서술·논술형으로 출제된다. 시교육청은 채점 시비를 줄이기 위해, 복수 교사에 의한 채점결과를 즉시 공개할 예정이며 학생과 학부모의 이의가 제기될 경우 교과별 협의회와 성적관리위원회에서 이를 검토하기로 했다.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담임교사 책임지도제도 활성화된다. 초등학교에서는 학급 담임교사가, 중·고교에서는 교과 담임교사가 책임지고 학습부진 학생을 지도해야 하며, 시교육청은 이를 위해 교대나 사대 학생들의 봉사활동을 유치하고 도우미 제도도 활용할 예정이다. 시교육청은 또 지난해 1만4200명(0.9%)이었던 영재교육 대상을 2005년 1만5천명(1.0%), 2006년 1만6500명(1.1%), 2007년 1만8천명(1.2%)으로 늘릴 예정이다. 또 영재교육 대상자 가운데 25%는 사회적 도움이 필요한 소외계층에서 선발한다. 이밖에 중·고교의 영어·수학 과목을 중심으로 수준별 이동수업도 확대된다. 수준별 이동수업은 2005년 40%, 2006년 50%에 이어, 2007년에는 60%까지 확대된다. 시교육청은 이를 위해 학생 수를 줄이고 수준별 학급을 추가편성하며, 시범교과서도 보급할 계획이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학습부진 학생에 담임책임지도 활성화 서울시 교육청은 31일 ‘서울학생 학력신장 방안’을 통해, 초등학교에 대한 사실상의 일제고사 부활과 단계별 평가방식 도입 이외에도 초·중·고교 학생들의 학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2개 영역 7개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시교육청은 우선, 2005년도부터 매년 3월 초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어·영어·수학 진단평가를 실시하기로 했다. 진단평가는 쉬운 문제를 중심으로 출제돼 최소한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평가 결과는 학교별로 산출·관리하며 학습부진 학생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되, 성적 공개나 학교별 비교는 금지된다. 시교육청은 또 서술형·논술형 평가를 확대하기로 했다. 시교육청은 중학교 1학년과 고교 1학년부터 국어·영어·수학·과학·사회 과목의 경우 올해 30%를 시작으로 10%씩 반영 비율을 확대할 방침이며, 2007년에는 시험문제의 절반이 서술·논술형으로 출제된다. 시교육청은 채점 시비를 줄이기 위해, 복수 교사에 의한 채점결과를 즉시 공개할 예정이며 학생과 학부모의 이의가 제기될 경우 교과별 협의회와 성적관리위원회에서 이를 검토하기로 했다.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담임교사 책임지도제도 활성화된다. 초등학교에서는 학급 담임교사가, 중·고교에서는 교과 담임교사가 책임지고 학습부진 학생을 지도해야 하며, 시교육청은 이를 위해 교대나 사대 학생들의 봉사활동을 유치하고 도우미 제도도 활용할 예정이다. 시교육청은 또 지난해 1만4200명(0.9%)이었던 영재교육 대상을 2005년 1만5천명(1.0%), 2006년 1만6500명(1.1%), 2007년 1만8천명(1.2%)으로 늘릴 예정이다. 또 영재교육 대상자 가운데 25%는 사회적 도움이 필요한 소외계층에서 선발한다. 이밖에 중·고교의 영어·수학 과목을 중심으로 수준별 이동수업도 확대된다. 수준별 이동수업은 2005년 40%, 2006년 50%에 이어, 2007년에는 60%까지 확대된다. 시교육청은 이를 위해 학생 수를 줄이고 수준별 학급을 추가편성하며, 시범교과서도 보급할 계획이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