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 절대평가 방안을 발표한 뒤 처음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21학년도 수능 개편 시안 공청회’를 연 11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교대에서 참석자들이 방청석에서 손팻말 시위를 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김상곤 부총리의 교육개혁 의지가 꺾였다.’
교육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개편안을 내놓은 뒤 교육계 안팎에서 나온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에 대한 평가다. ‘수능 절대평가 전면 도입’을 밀어붙일 것으로 보였던 김 부총리가 일부 과목 절대평가안과 전 과목 절대평가안 등 두 개의 안을 내놓고 여론에 따라 결정하겠다는 방식을 취한 탓이다. 심지어 애초 교육부가 마련한 ‘제3의 수능 개편안’(3안)은 공개되지도 않았다. 가장 개혁적인 절대평가 도입안이라 할 수 있는 3안이 수능 개편안 발표에서 빠진 것도 김 부총리가 ‘변화’보다는 ‘안정’에 무게를 둔 결과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김 부총리 쪽에서는 “수능 절대평가 도입에 대한 최종 평가는 임기말에 받겠다”는 태도다.
애초 김 부총리가 지난달 26일 기자 간담회에서 공개한 수능 개편안은 모두 3개였다. 이 자리에서 3안, 곧 ‘공통과목 위주의 전 과목 절대평가안’이 소개됐다. 당시 현장에 있던 많은 기자는 3안이 가장 유력한 수능 개편안이 될 것으로 이해했다. 고교 교육을 내실화하고 학생의 과도한 입시 부담을 줄인다는 새 정부의 정책 방향과 가장 잘 맞아떨어지는 개편안이라는 판단에서다. 김 부총리도 수능 절대평가 도입에 대해 수 차례 강한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과도한 점수 경쟁을 완화하고 고교 교육을 내실화하려면 수능 절대평가 전환이 필요하다.”(2017년 7월18일)
“현재의 대학 입시는 암기 위주의 교육과 줄세우기식 평가로 21세기를 선도해야 할 인재를 기르는 데 한계가 있다.”(7월31일)
수능 절대평가 도입에 대한 김 부총리의 확고한 의지는 새 정부 출범 직후 국정기획자문위원회(국정기획위) 단계에서도 드러났다. 국정기획위에 깊숙이 간여했던 한 관계자는 지난달 말 “애초 국정기획위 사회분과의 대체적 결론은 수능 절대평가는 단계적으로 도입한다는 것이었는데, 김 부총리가 전면 도입을 워낙 강하게 주장했다. 결국 최종 결정은 김 부총리가 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수능 절대평가 도입 방향에 대한 새 정부의 다른 기류가 감지된 것은 지난 3일이다. 이날 교육부는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 시안’을 보고했다. 이 자리에서 이 총리는 ‘교육 현장의 수용 가능성’을 언급하며 단계적 확대에 무게를 실었다. 같은 날 그는 자신의 페이스북에도 ‘단계적 확대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결국 교육부가 김 부총리의 평소 소신보다 후퇴한 것으로 보이는 수능 개편안을 내놓자, 이는 절대평가 전면 도입에 따른 논란을 우려한 정부와 여당 분위기에 김 부총리가 포위된 결과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김 부총리와 가까운 교육계 관계자는 “부총리의 개혁 의지가 꺾였다는 평가는 그런 결과를 희망하는 사람의 바람이 담긴 발언으로 이해한다”며 “수능 절대평가 도입에 대한 평가는 짧게는 이달말, 길게는 임기말까지 본 뒤 평가하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또 이 관계자는 “2015년 김 부총리가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을 맡아 숱한 논란에도 혁신안을 관철시킨 과정과, 그의 무상급식 추진 과정을 아는 사람이라면 ‘김 부총리의 개혁 의지가 꺾였다’는 말을 쉽게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성진 기자
cs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