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일찍 등교를 하고 있는 고등학생들. 한겨레 자료 사진
일반고 학생이 교내 또는 이웃 학교에서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들을 수 있는 ‘개방-연합형 종합캠퍼스 사업’이 2019년부터 서울 모든 일반고에서 시행된다.
4일 서울시교육청은 지난해 4월부터 일부 학교에 시범적용했던 이 사업을 내년 20곳 선도학교로 확대한 뒤 2019년부터는 서울의 모든 일반고에서 실시한다고 밝혔다. 고교학점제의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종합캠퍼스 사업은 문·이과의 이분법적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학생한테 적성과 흥미에 맞는 다양한 과목 선택권을 주자는 취지다.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교육부가 2022년부터 전면 도입하겠다고 밝힌 고교학점제와 유사하지만, 일정 학점을 따면 졸업을 인정해주는 학점제는 아니다.
개방-연합형 종합캠퍼스 사업의 유형은 모두 세가지로, 그 가운데 ‘개방형 선택 교육과정 학교’에서는 학내에서 이동해 수업을 듣는 방식을 도입한다. 현재 서울의 일반고 및 자율형공립고 10곳과 자율형사립고 2곳에서 시행하고 있다. ‘연합형 선택 교육과정 학교’에서는 학교 간 협력을 통해 2~5곳 학교를 묶어 한 학교에서 개설하기 어려운 소인수(학생수 13명 이하) 과목이나 심화 과목을 통합 개설한 뒤 서로 인근 학교로 이동해 수업을 들을 수 있다. 현재 서울을 8개 구역으로 나눠 24곳 학교에서 시행된다.
서울시교육청은 2019년 전면 시행을 앞두고 내년에 ‘개방-연합형 선택 교육과정 선도학교’ 20곳을 지정해 학교당 해마다 300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학생의 원활한 이동수업을 위해 추가 공간 개설도 지원하기로 했다.
앞서 서울시교육청은 지난해 4월 ‘일반고 학생 선택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발표하고 개방형 6곳, 연합형 10곳 학교를 대상으로 종합캠퍼스 시범사업을 운영했다. 이와 관련해 이기정 미양고 교사는 “학생 선택권이 확대됐다고 하더라도 내신 절대평가가 전제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학생들이 내신 유불리에 따라 과목을 선택할 수밖에 없으므로 큰 변화를 일으키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유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 정책실장은 “주변 학교로 이동해 수업을 듣는 학생이 미미한데 배정되는 예산은 매우 많은 걸로 안다. 지난 2년간 종합캠퍼스 사업의 결과를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