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기에 이어 제3기 국가교육회의 의장을 맡게 된 김진경 의장. 지난해 한-오이시디 국제교육 컨퍼런스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교육부 제공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가 제3기 임기를 시작한다. 2기 국가교육회의를 이끌었던 김진경 의장이 3기에도 의장을 맡는다.
국가교육회의는 오는 21일 제3기 출범식과 제15차 회의를 연다고 20일 밝혔다. 국가교육회의는 우리 사회의 장기적인 교육 비전을 만들기 위한 기구인 국가교육위원회를 설치하기 위해 만들어진 과도기적인 조직이다. 국가교육위원회 설치를 위한 법률이 아직까지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아, 어느덧 3기 임기까지 접어들게 됐다.
3기 국가교육회의에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인 위촉 위원 10명과 국무위원, 교육단체 대표 등인 당연직 위원 9명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김진경 의장과 장수명 기획단장은 2기에 이어 3기에도 연임하게 됐다. 김용준 전북 정읍중학교 운영위원장, 서길원 경기도교육청 교육2국장도 2기에 이어 위원으로 위촉됐다. 이밖에 권택환 대구교대 교수(특수교육과), 나영선 한국직업능력개발원장, 안혜정 서울 휘봉고 혁신진로부장, 이광현 부산교대 교수(교육학과), 이광형 카이스트 교학부총장, 차기주 가천대 교수(유아교육학) 등이 새롭게 위촉 위원이 됐다. 국가교육회의 쪽은 “전·현직 교사, 학교운영위원장 등 현장 교육전문가 6명이 포함되어 현장성이 대폭 강화됐다”고 밝혔다.
산하 위원회 구성에도 일부 변화가 있다. 국가교육회의는 분야별 전문적인 논의를 위한 3개의 상설 전문위원회와 특정 사안의 논의를 위한 2개의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국가교육위원회 입법과 설치에 역량을 쏟을 ‘국가교육위원회설치지원전문위원회’와 각각 청년 세대와 지역사회의 논의를 품을 ‘지역사회협력특별위원회’, ‘청년특별위원회’ 등이 눈에 띈다. 김진경 의장은 “국가교육위원회가 올해 안에 설치될 수 있도록 힘을 모으고, 급변하는 시대 변화에 맞는 미래형 교육체제 수립 준비를 위한 사회적 협의 과정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